매일신문

[엄원태의 시와 함께] 그늘(문정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학 후문 나무 그늘에 낙타가 앉아 있다

모자 하나 곁에 놓아두지 않고

오수 또는 유유자적이다

혹시 죽은 것은 아닐까

앉아서 입적한 선승을 몰라보는 것은 아닐까

출가도 가출도 아닌

자본주의 옆구리

주거부정의 그늘 한 자락이다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돌아설 수도 없는 저 자리

오직 앉아있음(只管打坐)을 수행하고 있다

집도 신도 깨달음도 버리라지만

처음부터 버릴 것이 없으니 무엇을 더 버리나

어깨에 쓴 넝마를 살며시 곁에다 내려놓는다

살다 보면 할 수 있는 게 "오직 앉아있음"뿐일 때가 있다. 이

때 앉아있음이란, 거의 "죽은 것"에 다름없는 상태가 아닐까 한다. 대학 후문 나무 그늘에 낙타처럼 퍼질러 앉은 채 꾸벅꾸벅 졸고 있는 오갈 데 없는 저 부랑자는, 말하자면 "출가도 가출도 아닌/ 자본주의 옆구리/ 주거부정의 그늘 한 자락"인 셈이다.

그는 가진 거라곤 도무지 없어서, 흔한 "모자 하나 곁에 놓아두지 않"은 적빈의 빈손이다. 그 '빈손'이 보는 이로 하여금 '좌탈입망(坐脫立亡)'의 지경에 든 선승의 초탈을 느끼게 할 정도였으니, 시쳇말로 '제대로' 비워낸 경지가 아닌가 한다.

사노라면 누구나 "앞으로 나아갈 수도/ 뒤로 돌아설 수도 없는" 곤경에 처할 때가 있다. '백천간두 진일보'의 지경을 맞닥뜨려야 하는 것이 인생이다. 그땐 그야말로 모든 걸 다 버려야만 저 '진일보'의 한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 정히 버릴 것이 없으면, 저 주거부정의 부랑자처럼 "어깨에 쓴 넝마"라도 "살며시 곁에다 내려놓"아야 한다.

시인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