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每日新聞 중부본부 독서감상문 공모전 대상 최지숙 씨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상 최지숙씨
대상 최지숙씨
최우수작 김민중
최우수작 김민중
차혜원
차혜원
박은빈
박은빈

매일신문사 경북 중부지역본부와 아동문예가 공동 주관한 성장동화 '많이 아팠지?! 나의 열두 살'(아동문예·정경련 저) 독서감상문 공모전에서 영예의 대상은 서평식 독후감을 쓴 최지숙(구미 비산동) 씨가 차지했다. 독후화, 만화, 독후감·독서 논술, 특별상 등 4개 부문으로 실시한 이번 공모전에는 170점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이 중 39명이 입상했다.

대상은 경상북도 교육감 상장 및 상금 50만원, 최우수작은 경상북도 교육감 상장 및 상금 30만원씩, 우수작은 매일신문사 사장 상장 및 도서상품권 5만원 씩, 특별상은 다량의 동시 및 동화책이 수여된다. 입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상 최지숙(구미 비산동)

◇독후감·독서논술

▷최우수작 김민중(구미 도봉초등 6년) ▷우수작 박민옥 김채은 조수연 도유진 권혜영 박지영 박수경 이수진 염지현 양정인 전대산 심지현 이수용 문해림 은수지 김영숙 김수연 김선미 김은정 김장행

◇독후화

▷최우수작 차혜원(구미 양포초등 5년) ▷우수작 김세연 강지호 박채원 이다희 박수연 권다은 김재은 서형경 이하송

◇만화 ▷최우수작 박은빈(구미 양포초등 5년) ▷우수작 신미연 황하연 임현진 박유림 박수진

◇특별상 ▷구미 도봉초등 ▷구미 양포초등 ▷구미 덕촌초등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대상 작품

사랑을 먹고 꿈을 키우다 -'많이 아팠지?! 나의 열두 살'을 읽고- 최지숙(구미 비산동)

옥남이는 어떻게 보면 행복한 아이이다. 아버지의 무뚝뚝하고 투박한 사랑, 어머니의 순박한 사랑, 할머니의 자상하고 따뜻한 사랑, 6학년 담임선생님의 바르고 현명한 사랑이 늘 함께 했기 때문이다. 처음 책을 접했을 땐 그리 세련되지 못한 느낌을 받았다. 조금은 산만한 책표지와 제목을 보고는 그저그런 책이려니 했다. 하지만 책을 조금씩 읽어가며 이 책의 저력을 실감하게 됐다. 작가의 교육자적 진실이 묻어나는 머리글, 참 단순하지만 주제가 요약된 소제목, 그리고 등장인물의 특징을 잘 잡아낸 인물삽화, 세밀하고 사실적으로 그려진 곤충과 식물 삽화가 인상적이었다. 또한 본문의 3분의 1 정도를 위쪽 여백으로 두어 읽는 이의 부담감을 덜어 주어 마음의 여백 또한 생기게 했다.

이런 사소한 부분까지 독자를 배려한 점이 참 매력적이었다. 어찌 보면 하잘 것 없고 불행한 장애인 가족인 옥남이네, 그렇지만 그 속에 따뜻한 사랑이 있었다.

또래보다 덜떨어져 바보라 놀림 받던 옥남이는 저학년 시절 늘 교실 밖을 맴돌았다. 4학년까지도 놀림의 대상이 되어 외로운 학교생활을 했다.

하지만 5학년 때 아버지가 돌아가심으로 해서 가족간의 사랑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6학년 담임 송은지 선생님을 만나며 비로소 자기 모습과 꿈을 찾고 꿈을 키우며 제대로 된 성장을 해 나가기 시작한다. 작가는 옥남이의 초등 성장기를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풀어내었다.

1학년부터 시작해 성장의 아픔을 글 속에 자연스레 녹여내며 6학년 생리를 시작하며 건강한 여자로 자랄 준비를 하는 과정까지 이야기가 잘 연결되어 있었다. 아슬아슬한 위기도 있었지만 담임선생님의 자상하고 현명한 대처로 잘 넘긴다. 이야기 속에 성교육 내용을 잘 끌어낸 점 또한 너무나 훌륭했다. 작가가 작정하고 성교육용으로 쓴 동화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감히 성교육동화로서도 손색이 없는 책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의 성교육적 요소, 그리고 성장동화라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를 겪는 5, 6학년에게 이 성장동화는 읽기에 적당한 학령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분량 면이나 내용 면에서 4학년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다. 비슷한 시기의 어린이가 이 책을 읽는다면 성장에서 오는 심리적 불안을 해소해주고 정신적인 성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보잘것 없는 개미귀신이 숱한 아픔을 딛고 멋진 명주잠자리가 되었듯이 옥남이도 이젠 주위의 사랑을 발판삼아 스스로 훌륭한 교육자로서의 꿈을 이뤄내 남에게 사랑과 꿈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길 기대해 본다. 소외된 학생에게 희망과 꿈을 준 책 속의 선생님께 박수를 쳐 주고 싶다. 주위에 초등 고학년 아동이 있다면 당장에라도 권해서 꼭 읽히고 싶은 책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