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첫 조각 TK 배제설, 대탕평 인사에 어긋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공식 출범함에 따라 관심은 '박근혜 정부'의 첫 조각으로 옮겨가고 있다. 다음 달 25일 제18대 대통령 취임식이 열리는 일정상 이달 말까지 내각 인선 작업을 끝낸다고 한다. 차기 정부의 첫 내각은 상징성이 큰 데다 대탕평 인사가 강조되고 있어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첫 조각을 두고 국무총리는 물론 국가정보원장과 검찰총장, 국세청장 등 '빅 3' 인선에 친박 계파와 영남 출신을 배제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는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 영남 출신 배제설은 역차별 논란까지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대탕평 인사의 취지와 맞지 않다. 박 당선인을 많이 지지한 대구'경북지역에서 인사 결과에 서운함을 느낀다면 국정 운영의 동력도 떨어진다.

특정 계파와 지역 배제설이 나오게 된 배경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이명박 정부 초기 '고소영 인사'가 잡음을 빚었던 것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대탕평 인사는 영남 출신을 포함해 각 지역 출신 인사를 고루 안배하되 능력 있는 인물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최선이다. 대탕평 인사는 이러한 원칙 아래에 여러 세심한 고려를 통해 고개를 끄덕이는 결과로 나타나야 한다.

'박근혜 정부'가 보수적 성격의 정권이라는 점에서 보수적 인물이 우선하겠지만 지나치게 보수 편향적인 인물의 기용은 피해야 한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과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임명이 논란인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또 호남 출신이나 야권 인물의 발탁은 형식적 구색 갖추기가 아니라 공감을 얻을 만한 인물을 요직에 앉히는 파격이 필요하다. 차기 정부의 국정이 순조롭게 출발하려면 첫 조각이 이해가 갈 만큼 성공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