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9년 프랑스 대혁명은 자유, 평등, 박애를 이념으로 인류사의 큰 진전을 이룩했다. 그러나 그것은 남성만을 위한 혁명이었을 뿐 여성은 철저히 도외시되었다. 혁명에 큰 영향을 미친 장 자크 루소조차 명저 '사회계약론'을 통해 여성은 남성에게 복종하도록 창조되었다고 주장할 정도였다. 올랭프 드 구주는 여기에 반기를 들었다.
1748년 오늘, 시골 귀족과 세탁부 어머니 사이의 사생아로 태어난 그녀는 열여섯 살에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해 아들 하나를 낳았다. 남편이 죽은 후 파리로 가 사교계 문사들과 교류하며 흑인 노예제에 반대하는 희곡이나 여성의 이혼권을 옹호하는 글을 써 약간의 명성을 얻었다. 그 사이 많은 남자의 구애를 받았지만, 결혼은 거부했다. 그녀는 혁명을 희망과 기쁨으로 반겼으나 평등권이 여성에까지 확대되지 않는 것을 보고 곧 환멸을 느꼈다.
이에 혁명의 '인권선언문'에 빗대어 '여성권선언문'을 썼고 성적 평등 결혼을 주장한 '사회계약론'을 써 루소를 꼬집었다. 결국, 그녀는 '성별에 적합한 덕성을 잃어버린 사람'이라는 올가미를 뒤집어쓴 채 45세 때인 1793년에 로베스피에르의 공포정치를 공격했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 단두대에 오르기 전 그녀는 "여성이 사형대에 오를 권리가 있다면 의정 연단 위에 오를 권리도 당연히 있다"는 말을 남겼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