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의 4대강 감사 결과에 대해 이명박 전 대통령 측이 11일 "대운하를 전제로 추진하지 않았다"며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공식대응을 자제하던 MB 측이 이날 오후 입장을 밝히고 나선 것은 공식적으로 대응을 하지 않을 경우,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그대로 인정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구속과 원전비리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 등을 통해 박근혜 정부가 MB정부와 선을 긋겠다는 뜻이 분명해진 이상 더 이상 당하고만은 있을 수 없다는 반발기류도 엿보이면서 신'구정권 간 갈등 양상도 드러나고 있다.
MB 측의 공식 대응은 이날 서울 삼성동의 이 전 대통령 사무실에 모인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과 김효재 전 정무수석, 이동관'김두우 전 홍보수석, 박정하 전 대변인 등이 대응방안을 논의한 끝에 나온 것이다. 이 자리에 이 전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변인은 대책회의 후 '4대강 살리기와 대운하는 무관하다'는 자료를 통해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감사원이 대운하 연관성의 근거로 지적한 수심 6m 구간은 전체 구간 중 극히 일부이며 한강 등 대부분 구간은 3~4m로 시공됐다"고 지적하고 "대운하를 전제로 했다면 세종보를 제외한 전체 보마다 다리를 설치할 이유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4대강 사업의 본질은 기후변화에 대비한 홍수 대응능력 강화와 수자원 확보 및 수질개선에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효과가 나타나고 많은 국민들이 그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 정부와 청와대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하는 모습이었다.
이재오'조해진 의원 등 친이계 새누리당 의원들도 감사원 감사 결과를 '정치감사'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 의원은 이날 '일묵여뢰'(一默如雷'한 번의 침묵이 우레와 같다)라는 글을 올렸다.
청와대는 이 같은 MB 측 대응에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전날 이정현 홍보수석이 "사실이라면"이라는 전제하에 "국민을 속인 것"이라고 공식입장을 내놓은 것 외에는 후속대응이 없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이 전 대통령이 대운하를 추진할 때부터 부정적이었던 만큼 청와대는 감사원 감사 결과를 받아들이면서 MB정부와의 차별화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청와대가 전 정권과의 차별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더라도 감사원과 검찰 등을 통한 4대강 사업 등에 대한 감사와 전방위 수사 움직임을 두둔하고 나섬에 따라 신'구정권 간의 갈등양상은 악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