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맞춤법에서 가장 까다로우면서 사람들의 거부감이 심한 것이 사이시옷이다. 사이시옷에 대해 맞춤법 규정에는 매우 복잡하게 설명해 놓았는데, 정리를 해 보면 ①합성어일 때, ②우리말+우리말 또는 우리말+한자어일 때, ③뒷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ㄴ이 덧날 때 ④여기에 해당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쓰는 것 6개에서 사이시옷을 쓴다는 것이다.
이 규정에 따르면 '해+님'의 경우 '님'이 접사로 ①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햇님'으로 쓰지 않는다. 수능 문제의 문두에 쓰이는 '위 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쓰지 않았지만, 작년 수능부터 국립국어원에서 한 단어로 보아야 한다 하여 '윗글'로 바뀐 것도 합성어로 인정되느냐와 관련이 되는 것이다.
②의 규정은 판단하기가 매우 힘들다. '전세(傳貰)+집'은 한자어+우리말이기 때문에 '전셋집'으로 쓰지만 '전세+방(房)'은 한자어+한자어이기 때문에 '전셋방'으로 쓰지 않는다. '세(貰)+방(房)'은 한자어+한자어의 결합이지만 ④의 6개에 속하기 때문에 '셋방'으로 쓴다. 그리고 '피자+집'의 경우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피자집'으로 쓰지만, '담배, 남포'와 같이 오래된 외래어는 우리말로 인정해서 '남폿불, 담뱃재'와 같이 쓴다. 한자어, 순우리말, 외래어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서 어원을 알아서 판단을 하라는 것은 매우 가혹한 일이다.
③의 규정도 생각보다 까다로운데 '위+집'은 [위찝]으로 소리가 나기 때문에 '윗집'으로 쓰지만, '위+쪽'이나 '위+층'은 음운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윗쪽, 윗층'으로 쓰지 않는다. 사람들은 일관적으로 편하게 쓰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많이 틀리는 것이다.
사람들이 이 규정에 거부감이 강하다는 것은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는 지명이나 도로명 주소로 바뀌면서 새로 만든 지명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원칙적으로는 '경북댓길(경북대길), 능인곳길(능인고길), 까칫골(까치골), 여웃고개(여우고개), 미아릿고개(미아리고개)' 등과 같이 사용해야 하지만 그렇게 쓰는 곳은 거의 없다. 수학 선생님들은 '최댓값, 대푯값' 이런 말을 문제에 쓸 때마다 늘 투덜거린다. 왜냐하면 '최대, 대표'와 같은 원래의 말을 사이시옷이 너무나 어그러뜨리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보면 99%가 틀리는 맞춤법이라는 게 있다. 사람들은 보통 '막내동생'이라고 쓰고 그대로 읽는데, 정확한 맞춤법은 표준 발음이 [막내똥생]이기 때문에 '막냇동생'으로 적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써 놓고 보면 아무리 보아도 어색하기 그지없다. 대부분의 반응들이 그런 것을 보면 99%가 틀리는 맞춤법이라는 게 빈말은 아닌 듯싶다. 그런데 여기에서 사람들의 국어 실력을 탓하기 전에 한 가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있다. 사람들이 두루 쓰는 말을 기준으로 삼는 언어 규정에서 99%가 틀린다면 그것은 99%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규정이 잘못된 것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민송기<능인고 교사·chamtc@naver.com>































댓글 많은 뉴스
'갭투자 논란' 이상경 국토차관 "배우자가 집 구매…국민 눈높이 못 미쳐 죄송"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문형배 "尹이 어떻게 구속 취소가 되나…누가 봐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건"
'금의환향' 대구 찾는 李대통령…TK 현안 해법 '선물' 푸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