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외 인터넷 쇼핑몰 통한 '직접구매족' 폭발적 성장

1인당 평균 5.7회, 93만원 지출…대한상의 해외 이용실태 조사 "국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유명 해외직송 물류 센터. 각종 상품들이 박스 포장 상태로 우리나라 등 세계 곳곳으로 배송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한 유명 해외직송 물류 센터. 각종 상품들이 박스 포장 상태로 우리나라 등 세계 곳곳으로 배송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값싼 물건을 찾는 알뜰 구매자가 늘고 인터넷'모바일 쇼핑이 확산되면서 해외 '직구'(직접구매)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자칫 국내 소비시장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온라인쇼핑족 1천6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 직구 이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24.3%가 '해외 인터넷쇼핑몰이나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쇼핑족 4명 중 1명은 이른바 해외 '직구족'(直購族)에 해당하는 셈이다.

해외직구를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중복응답)로 '국내 동일상품보다 싼 가격'(67%)을 들었으며 이어 '국내에 없는 브랜드 구매'(37.8%), '다양한 상품 종류'(35%), '우수한 품질'(20.3%)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는 "알뜰소비'가치소비의 확산과 더불어 개성과 품질을 찾으려는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해외직구가 점차 늘고 있다"며 "특히 SNS'블로그 등을 통해 해외직구 이용방법이 공유되거나 직구 사이트들이 구매절차를 간소화하면서 이용 편의성이 증가된 점도 해외직구 활성화에 한 몫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미 FTA 발효에 따른 면세한도액 상향과 관세효과 등도 이런 추세를 거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2년 3월 한'미 FTA 발효를 기점으로 미국 직구는 관세를 물리지 않는 구매금액 상한선이 기존 15만 원 이하(상품가격+배송비)에서 200달러 이하로 상향 조정됐다.

게다가 FTA발효 후 해외직구 경험자들이 체감하는 해외브랜드 상품의 국내 가격을 물은 결과 '동일하거나 오히려 증가했다'는 답변이 91.3%에 달했고, '직접적인 관세혜택 증가로 해외직구 횟수와 이용금액이 종전보다 증가했다'(20.5%)는 답변이 '감소했다'(5.8%)는 응답을 크게 앞질렀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해외직구 건수와 이용액은 2010년 318만 회, 2억4천2백만달러에서 2011년 500만 회, 4억3천1백만달러로 늘었고, 한'미 FTA가 발효됐던 2012년에는 720만 회, 6억4천2백만달러로 급증했다. 이와 관련 해외직구 경험자들 대부분이 '해외직구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96.0%)이라고 답해 관련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현재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추후 해외직구가 더욱 확산될 경우 국내 소매시장이 잠식될 수 있다"며 "유통기업은 물론 국산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기업의 매출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해외 직구족들은 지난 2년간 1인당 평균 5.7회에 걸쳐 총 93만원 정도를 해외 인터넷쇼핑몰이나 구매대행을 통해 쓴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비슷한 구매횟수를 보였으나 구매금액 면에서 30대가 100.8만원으로 씀씀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구입품목(중복응답)으로는 '의류'(41.5%)를 가장 많이 꼽은 가운데, '구두, 액세서리 등 패션잡화'(40.8%), '건강식품'(34.5%), '유아용품'의류'(29.3%), '가방'지갑'(28%), '화장품'(26.8%) '식품'(14%), '전자제품'(1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해외직구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매 채널은 '국내 종합 온라인 몰이 구축한 직구사이트'(37.8%), '해외 종합 온라인 몰'(24.3%), '해외 브랜드 자체 온라인 몰'(18.8%), '커뮤니티 사이트'(10.8%), '국내 중소 직구사이트'(5.3%), '블로그'(3.0%) 순이었다. 해외직구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 경험자의 66.8%가 '만족한다'고 답한 반면 '불만족' 응답자는 1.7%에 불과했다.

항목별로는 품질과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5점 만점에 4.0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상품 교환'환불이 2.6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상품배송은 3.4점을 기록했다.

해외직구 쇼핑환경 개선을 위한 과제(중복응답) 역시 '환불'교환 절차 간소화'(68.3%)를 첫손에 꼽은 데 이어 '상품 A/S 개선'(67.5%), '배송 시간 단축'(45.8%), '정품확인 서비스'(43.8%), '주문절차 간소화'(27.5%), '충분한 상품정보 제공'(24.5%), '배송확인 서비스'(22.5%) 등을 차례로 꼽았다.

대한상의는 "해외로 향하는 국내 소비자들을 잡기 위해 유통기업은 병행수입 등을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품을 공급해야 한다"면서 "제조업체 역시 국산품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류 영향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 해외 소비자의 이목과 클릭을 사로잡을 역(逆)직구 활성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