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월 '의대 정원 2천명 확대'를 포함한 정부의 필수의료패키지 정책에 반발해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이 약 1년 5개월만에 "학업에 복귀하겠다"고 선언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2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입장문 발표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의협 회장도 함께 나와 "의대생 학사 정상화를 시작으로 국민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의료 정상화의 길을 열어달라"고 호소했다.
이선우 의대협 위원장은 "지난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한 정책으로 의료 현장과 의학 교육이 심각하게 흔들렸고 국민과 의료계 모두 긴 고통을 겪었다"라며 "그 현실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봄부터 국회와 활발히 소통하고 이재명 정부와 대화하며 신뢰 관계가 확립됐다"며 "의대협은 새 정부와 국회가 제시하는 의학 교육과 수련 정상화(의지)를 신뢰하고, 이번 의정 갈등과 같은 혼란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학생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입장문 발표에서 의대생들의 구체적인 복귀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이 위원장은 "여러 단위들의 협조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를 말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의대생들이 2학기나 혹은 그보다 일찍 복귀하기 위해서는 정부나 대학이 일종의 '학사 유연화' 조치가 필요하지만 의대협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압축이나 날림 없이 제대로 교육받겠다"며 선을 그었다. 다만, 당장 복귀한다고 수업을 진행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제대로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학사일정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정부와 대학 등에 요구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은 "의대생들이 어떤 조건이 충족돼야 들어가겠다는 뜻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봤을 때, 복귀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빠르게 복귀해 학업을 재개하겠다는 의미로 봐 달라"고 덧붙였다. 또 이 위원장 등이 제안한 학사 정상화 방안 등을 대통령과 국무총리에게도 전달했다며 "대학마다 사정과 상황이 다르니 오늘 (복귀 선언이) 큰 물꼬는 텄다고 생각해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또 "국회는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노력하겠다"면서 "복귀한 의대생들이 불이익이나 불안을 겪지 않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호조치를 함께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서는 "학사일정 정상화를 통해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주고 전 정부의 무리한 정책으로 인해 초래된 의료 현장의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교육 및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당사자들의 참여를 보장해달라"고 요청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의료사태로 인해 미래 준비하던 수많은 젊은이와 가족, 교수님, 의료진, 국민 여러분께서 말할 수 없는 피로와 아픔을 견뎌오셨다"며 고개를 숙인 후 "의학교육이 회복을 넘어 더 나은 방향으로 혁신될 수 있도록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와 의협 등은 입장문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국회, 의료계는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실무 논의 단위를 신속히 구성해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단독] 대구도 드디어 '농민수당' 지급하나… 조례안 발의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