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주 軍공항 이전 사실상 국정과제화"…대구 숙원 사업 TK신공항은

대구시 "광주 군 공항 이전 TF 개최되면 후속 협력 방안 고심할것"

대구경북신공항 조감도. 매일신문 DB
대구경북신공항 조감도. 매일신문 DB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에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구가 술렁이고 있다. 군 공항 이전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광주시가 해법을 찾을 것으로 기대되면서 대구경북(TK)신공항 사업도 추진 동력을 되찾을지 이목이 집중되면서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강기정 광주시장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우상호 정무수석이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사실상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임을 공식화했다"고 강조했다. 같은날 우 정무수석이 브리핑에서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는) 사실상 대통령 국정과제가 된 것"이라고 발언한 대목을 언급한 것이다.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에 군 공항을 추진 중이던 대구도 기대가 모인다. 대구(K-2), 광주(K-57), 경기 수원(K-13)은 함께 군 공항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기부대양여라는 난제에 공동 대응해 왔다.

심지어 대구는 사업 추진 단계가 가장 앞선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사업은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 전이고, 수원 군 공항 이전 사업은 화성시로 예비 후보지를 선정한 단계다. 대구는 이전지가 결정돼 있는 데다 국방부의 사업계획 승인도 받았다.

지역에선 대구 군 공항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도록 국정과제로 확정해 군 공항 이전 선례를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가 크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1일 "TK 신공항 건설을 광주공항과 같이 정부에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산하 광주 군 공항 이전 TF의 역할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다만 지역 간 갈등 해소에 중점을 둔 기구라면 이미 이전지를 확정한 대구의 경우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가 군 공항 이전 지원을 약속했더라도 기부대양여 방식을 유지할지, 국가 재정으로 건설을 추진할지에 따라 해법이 달라질 것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기부대양여 방식을 손 본다면 지자체의 재정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현실화해야 할 텐데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다"며 "결국은 재원을 어떻게 할 것이냐로 갈 수밖에 없을 듯한데 현재로서는 TF의 범위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광구 군 공항이 이전이 국정과제로 채택되는 것은 대구와 수원에도 긍정적"이라며 "광주 군 공항 이전 TF가 개최된 후 이후에 광주시와 후속 협력 방안을 고심할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