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파노라마 '꼭꼭 숨어라, 집게다리 보일라!' 편이 16일 오후 10시 방송된다. 도시로부터 방류된 막대한 양의 유기물을 먹어치움으로써 갯벌의 오염을 정화하고 해안사구의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게'. 강화'천수만'태안 일대 서해 갯벌에 서식하는 게들의 생태에서부터, 생존과 진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건축술, 산란을 위해 죽음의 대장정을 불사하는 회귀본능까지 게의 존재로 인해 더욱 큰 가치를 지니는 갯벌의 신비로운 생명력을 만나본다.
게가 옆으로 걷는 것은 몸의 구조상 걸음다리 관절이 안쪽으로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일부 학자들은 해저나 갯벌에 구멍을 팔 때 짧은 시간에 넓고 깊게 팔 수 있도록 진화한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게가 옆으로 걷는 건 아니다. 구멍을 파지 않는 밤게는 앞으로 걷는다. 밤게는 과연 어떻게 앞으로 걸을 수 있는 걸까?
갯벌 위의 게들은 끊임없이 펄을 주워 먹으며 펄 속의 유기물을 섭취한다. 이런 행동은 사실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과잉 증식할 경우 적조를 유발하는 저서성 미세조류를 게가 먹어치우는 덕이다. 게들의 갯벌 정화 능력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해봤다.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손꼽히는 서해 갯벌.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산업단지, 농경지, 택지 등의 개발을 위한 매립으로 지도에서 갯벌을 지워왔다. 우리나라의 갯벌 면적은 1987년 3천203.5㎢에서 2008년 2천489.4㎢로 20여 년 만에 약 22.3%(714.1㎢)가 감소했다. 지구의 허파, 자연 정화조 등으로 불리는 갯벌. 갯벌의 위기는 갯벌 생명들만의 위기가 아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