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느리게 읽기] '삶은 예술' 노래한 니체 철학세계의 정수…『 니체전시집 』

니체전시집/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아키야마 히데오'도미오카 치카오 엮음/ 이민영 옮김/ 시그마북스 펴냄

10대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의 니체의 모든 시들이 담겨 있는 책이다. 니체의 핵심 철학과 실체를 정확히 알고자 한다면 그의 모든 시를 담고 있는 이 책 한 권만 읽어도 된다.

이 책의 원본인 니체 전집 제20권(무자리온 판)에는 니체의 소년 시절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니체의 모든 시들이 들어 있다. 니체의 시 전부를 보고자 하는 것은 그가 시인이라서가 아니다. 그의 시를 통해 더 넒은 니체의 철학 세계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니체는 시인이자 철학자, 예술가다.

니체 시의 전개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의 시들(1859∼1864년) ▷청년기의 시들(1869∼1877년) ▷'인간적인 것 너무나도 인간적인 것'에 바치는 시들(1878∼1884년) ▷즐거운 학문을 위하여(1881∼1882년) ▷포겔프라이 왕자의 노래(1882∼1884년) ▷잠언시(1882∼1886년) ▷시들(1882∼1888년 저술들과 원고들에서) ▷차라투스트라의 노래(1883∼1885년) ▷디오니소스의 찬가(1884∼1888년) ▷디오니소스 찬가의 단편들(1882∼1888년).

니체의 예술과 철학은 열려 있다. 니체가 자신의 시'음악'철학을 전개하면서 모든 전통적인 합리주의적 문명을 깡그리 붕괴하고 해체하여야만 긍정적'창조적인 인간의 전형, 곧 초인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을 보면 혹시 니체가 허무주의자가 아닌가라는 느낌마저 받는다.

하지만 니체는 고대 그리스 비극을 생동하는 시와 음악의 전형으로 삼고, 그것들을 근거와 참고로 인용해서 '힘에의 의지'를 이끌어내고 있다. 니체는 결국 단순한 기계 부속으로 전락해버린 인간과 사회를 완전히 붕괴시키고, '힘에의 의지'로 충만한 인간상을 창출하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합리주의적 이성이 필요 없게 되고, 오직 꿈틀거리는 힘을 소유한 대지와 이글거리는 태양을 노래하면서 시'음악'철학으로 삶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것이 니체가 말한 철학자-예술가의 사명이다.

니체는 '산다는 것은 예술'이라고 말한다. 삶이 예술이기 때문에 어떤 식의 삶도 허용된다. 어차피 한 번뿐인 인생을 살아야 한다면 아름다우면서도 강하게 살고 싶은 것이 니체의 바람이다. 니체는 자신의 삶 속에서 그 바람을 관철했고, 그 삶의 불꽃이 이 책 안에서 사방을 향해 번져 나가고 있다. 시인 니체를 피부로 느끼는 것이야말로 철학자 니체를 파악하는 전제조건이 되기도 한다. 552쪽, 2만5천원.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