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률이 6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해진 의원이 최근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률은 2011년 11.4%에서 지난해 18.4%로 60% 이상 증가했다.
이는 인터넷 중독률이 지난 2005년 12.6%에서 지난해 7.2% 수준으로 줄어든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률이 증가했음에도 그 심각성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도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지적됐다.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 인지도는 81.4%인데 비해 스마트폰 중독률의 심각성 인지도는 69.1%에 머물렀다.
이날 한국정보화진흥원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서 조해진 의원은 "스마트폰은 휴대가 간편해 인터넷에 비해 중독될 가능성이 훨씬 크기 때문에 보다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부모 등 주변인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영'유아'어린이의 경우 청소년, 성인을 거치면서 다른 중독으로 빠지는 게이트웨이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어 철저한 관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