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비리 뿌리 뽑아야 사이버대학이 산다

사이버대학과 대학원대학 등 국내 특수 대학의 불'편법 운영이 만연하고 이사장의 전횡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에 거주하지도 않는 딸을 운영자인 것처럼 앉혀 수억 원의 돈을 준 이사장이 있는가 하면 강의를 듣지도 않은 학생들에게 학점을 준 사례도 무더기로 적발됐다. 이는 사이버대학들이 그동안 얼마나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었는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감사원이 국내 19개 사이버대와 21개 대학원대학 등 특수 대학을 대상으로 감사한 결과 드러난 사학 비리는 사이버대의 근간을 뒤흔든다. 감사원은 이들 대학들에서 무려 30건의 부적정 사안을 찾아냈다. 숨겨져 있던 사이버대학 비리가 감사원을 통해 처음으로 민낯을 드러낸 것이다.

재단이사장들은 학교 돈을 제 주머닛돈처럼 빼돌렸다. 모 사이버대 이사장은 자신과 부인 명의로 각각 회사를 설립한 뒤 강의용 콘텐츠 제작을 맡아 수강료 수입의 50%를 받아 챙겼다. 정상 외주 제작보다 무려 45억 원이나 제작비가 과다 책정됐고 이 돈은 이사장의 호주머니로 들어갔다.

또 다른 한 이사장은 자신의 딸을 법인의 수익용 빌딩 관리를 하는 전문 용역 업체 관리인으로 서류를 꾸며 2005년부터 3억 5천만 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딸은 2007년 캐나다로 출국한 후 국내에 머문 기간이 58일밖에 되지 않았다.

학생이 규정된 수업 일수를 채우지 못하자 교수가 학생 대신 온라인 강의를 들어줬는가 하면 5개 사이버대학에서는 시험을 보지도, 과제물을 내지도 않은 학생 5천110명에게 학점을 줬다.

사이버대학은 지난 2001년 성인의 학습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도입된 후 일반 대학 수준으로 위상이 강화됐다. 규정 학점을 받으면 학사나 전문학사가 될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기반의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등록금도 저렴해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2001년 8천 명의 졸업생이 나왔으나 2011년엔 10만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감사원 감사는 사이버대들이 깊이 새겨야 할 경고다. 사이버대학들이 사회적 신뢰를 잃게 되면 막 피기 시작한 봉오리는 시들 수밖에 없다. 이사장에 의한 대학 사유화가 지금처럼 진행되고 채용 비리, 엉터리 학사 관리로 얼룩지면 사이버대학은 설 땅이 없다. 교육부 등 감독 기관은 과감히 메스를 들이대야 한다. 이번 감사원 감사 결과를 계기로 사이버대의 환골탈태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