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기관 42% "신도시 이전 희망"

도청 등 4개 기관…공무원 65%가 이주할 듯

경상북도청 신도시의 이전 대상 기관'단체 중 42%가량만 이전을 희망하고, 2016년까지 경상북도의 주요 4대 기관 소속 공무원의 65%가 신도시로 이전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북도의회 김하수 도의원(청도)에 따르면 도청 이전 신도시에 이전대상 기관'단체 219곳 가운데 이전을 희망하는 곳은 91곳으로, 전체의 41.5%로 나타났다. 특히 이전을 희망하는 기관'단체 중 이전일자를 확정한 곳은 19곳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말 도청과 도의회가 신도시로 이전할 경우 전체 공무원 1천531명 가운데 72.3%인 1천108명이 이주할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7월에 이전할 경북도교육청은 소속 공무원 391명 가운데 64%인 250명이, 2016년 상반기에 이전하는 경북경찰청은 전체 직원 373명 가운데 35%인 129명이 각각 신도시로 자리를 옮길 것으로 내다봤다. 경북도의 주요 4대 기관(도청'도의회'도교육청'도경찰청) 소속 공무원은 전체 2천295명 가운데 65%인 1천487명이 2016년까지 신도시로 이주할 전망이다.

도청 신도시 내 이주자 택지는 다음 달부터 공급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개발공사는 21일 이주자 택지 공급 공고를 시작으로 28일 금융결제원 전산추첨을 통해 최종 당첨된 이주자를 대상으로 다음 달 9일부터 20일까지 최종 분양계약을 체결키로 했다.

이주자 택지는 경북도청이전신도시 사업지구 내 주거용 건축물이 편입돼 이주를 해야 하는 원주민들에게 우선적으로 공급되는 토지로, 안동'예천지역 총 411필지가 대상이다. 이주자 택지에는 3층 이하 건축물을 지을 수 있으며, 다가구 주택만으로 건립할 경우 5가구, 점포 겸용 시에는 4가구까지 주택을 건립할 수 있다. 경북개발공사는 그동안 경북도 신청사 부지 등 유관 이전기관 예정부지 10필지, 공동주택용지 4필지에 대한 공급을 마쳤다. 내년부터는 업무시설, 공동주택, 생활대책 및 상업용지를 부동산 경기에 맞춰 선별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주여건 조성 시기는 늦어지고 있다.

주거시설 및 상가, 학교 등 정주 기반을 갖출 수 있는 부지조성 자체가 내년 말에야 끝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도시 내 공무원임대아파트 496가구는 2015년 12월에 준공이 가능하고, 민간아파트 1천900여 가구도 2016년 말 입주할 전망이다. 반면 신도시 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학교는 2015년 3월 일제히 개교할 예정이다.

김 도의원은 "전남도청은 도청을 이전한 지 8년째를 맞았지만 이전 대상 기관'단체 160여 곳 가운데 30여 곳이 이전하는 데 그쳤다"며 "기관단체들이 동시에 이전하거나 짧은 기간 내에 집중적으로 이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석태용 경북개발공사 신도시건설본부장은 "도청 이전 신도시 건설사업 1단계 조성공사가 현재 40%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신도시 내 용지분양도 활기를 띠고 있다"며 "내년 6월로 계획된 토지사용시점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안동'권오석기자 stone5@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