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노후공단인 3공단과 서대구공단이 노후 도심공단 재생사업 지구로 지정돼 쾌적한 도심 공단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김상훈(대구 서구)'이종진(대구 달성군) 새누리당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입지법) 개정안이 19일 본회의를 통과한 덕분.
이 의원은 산업단지 개발사업이나 재생사업을 추진할 때 토지소유자에 대한 환지방식의 보상 범위를 확대해 사업시행자의 초기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산업입지법 개정안을 지난 5월 발의했다. 현행법은 토지소유자 등 일부에만 환지방식의 보상을 허용하고 대부분 수용보상을 받도록 해 사업시행자에 막대한 부담을 안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토지소유자는 수용보상과 환지보상 중 원하는 보상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사업시행자의 부담이 줄어 산업단지 재생사업이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의 개정안에는 서상기'주호영'조원진'윤재옥'김희국'권은희'김상훈'홍지만 의원 등 대구 지역 의원 8명과 정희수'정수성 의원 등 경북 지역 의원이 공동발의자로 참여, 지역 의원들이 힘을 합쳤다.
함께 통과된 김 의원의 개정안은 재생산업지구에 대한 산업시설용지 면적을 산단 전체 면적 중 공공시설을 제외한 면적의 40% 이상의 범위에서 해당 시'도의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노후공단 대부분이 도심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고려, 산업시설용지 비율 기준을 현행 50%에서 40%로 완화해 교육'연구'문화 시설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3공단과 서대구공단은 각각 1968년, 1976년에 조성된 노후공단으로 도로(15m 이하)가 좁고 주차장, 공원 녹지 시설 등 기반시설이 부족해 재생 사업이 시급한 대표적 노후공단으로 꼽혔다.
노후공단 재생을 위한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대구의 대표 노후공단인 3공단과 서대구공단도 복합 개발 가능성이 커졌다.
이 의원은 "산단 개발, 노후 산단 재생 사업시행자 유치가 유리해져 국가 산단 2단계 사업도 조기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 의원이 합심해 추진한 결과라 더욱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남부권 신공항과 광역철도 건설 등 지역 현안을 해결하도록 지역 의원들이 공조해 결실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급속한 노후화와 난개발로 공단 운영에 애로가 많았던 서대구공단의 재생사업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노후공단이 도심형 복합 산업공단으로 탈바꿈할 것이다. 수도권에 편중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지역경제 활성화 법안과 정책을 만드는 데 힘쓰겠다"고 했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