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방재단은 2005년 자연재해대책법 개정을 통해 시군단위로 구성되기 시작했다. 경북도내에서만 약 5천700여 명이 활동 중이다.
경북도는 자율방재단 활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연합회도 만들었다. 큰 재난이 발생했을 때 지역 경계를 넘나드는 활동이 가능해진 것이다.
자율방재단은 지자체 공무원'소방대원'군인'경찰 등의 노력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재난이 일어났을 때 큰 힘이 된다. 또 지역 주민들이 주축인 만큼 현장에 가장 빨리 달려올 수 있다.
사고 예방 효과도 크다. 주민들이 주축인 자율방재단은 재난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이 많고 수시로 교육을 받기 때문에 위험 지역에 대한 사전예방을 할 수 있다.
박홍열 경북도 안전총괄과장은 "선진국에서는 자율방재단 활동이 굉장히 활성화돼있다"며 "경북도도 선진국 수준의 자율방재단 운영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펼 것"이라고 했다.
박 과장은 또 "실제로 일본은 지진 등의 재난 상황에서 자율방재단이 인명 구조의 첨병 역할을 한다"며 "자율방재단을 제대로 키워내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최경철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