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가 1일 한일중 정상회의를 비롯해 한중(10월 31일) 및 한일(2일) 정상회담을 잇달아 가지면서 3국을 비롯한 동북아 평화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2일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서는 일본군 위안부를 비롯한 과거사 문제 등에서 한 단계 진전을 이뤄내 한일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된다.
3국 정상은 1일 청와대에서 한일중 정상회의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공동보조 등 평화'번영 ▷동북아 평화협력 구현 ▷경제'사회 협력 ▷지속가능한 개발 촉진 ▷신뢰 및 이해 증진 등을 골자로 한 '동북아 평화 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중요한 틀인 3국 간 협력체제가 복원됐다"고 이번 회의의 의미를 평가한 뒤 "우리는 3국 협력의 발전 방향을 담은 동북아 평화와 협력을 위한 공동선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특히 한반도 문제와 관련, 박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유지가 공동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과 북한의 비핵화 목표를 확고히 견지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의미 있는 6자 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를 정례화하고, 3국 협력 사무국의 역량을 강화하는 등 3국 정부 간 협의체를 확대해 나가는 등 3국 협력의 제도화를 통해 동북아 평화협력을 구현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3국 간 FTA 협상을 가속화시키는 등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의 체결을 위해 노력하고, 전자상거래와 보건'의료'문화'콘텐츠 등 신산업 부문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과 리 총리는 이에 앞선 지난달 31일 오후 양자 회담을 갖고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안정 노력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비준과 발효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연계를 위한 협력사업 발굴 ▷위안화 활용도 제고 등 금융 협력 강화 등 양국 간 실질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양국은 특히 북핵과 한반도 통일문제 등과 관련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박 대통령은 양자 회담에서 북핵 불용 및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 반대 등 북한 문제에 대해 한중 양국이 공감대를 강화해 나가고 있는 점을 평가하고, 중국이 앞으로도 한반도 문제에 건설적 역할을 해주기를 주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일중 정상회의와 한중 양자 회의를 통해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평화, 경제'문화 협력 등 다각적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며 "한일 정상회담의 경우 그동안 우리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과 관련해 일본의 진전된 입장 표명과 해결 방안을 촉구해온 만큼 일정 정도의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