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한 개방되면 경제 발전' 中 단둥 주민들 기대감

중국 동북3성(랴오닝'지린'헤이룽장성) 주민들 사이에 남북 정상회담에 따른 북한 개방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9일 보도했다.

북중 접경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의 모 상업은행 대출관리 담당자 왕모 씨는 "2016년 중국 항저우(杭州)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지역경제를 활성화했고, 2017년 샤먼(廈門) 브릭스(BRICs) 정상회의가 지역에 같은 효과를 일으켰다"며 "동북3성도 대형 이벤트 혜택을 받지 못할 이유가 없다. 조선(북한)이 일단 개방하면 지역경제가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단둥 Z엑스레이사 검사기술부 관리자인 관훙즈는 "일각에선 단둥이 남부 광둥성 선전처럼 풍요로운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나도 그렇다고 생각한다"면서 "북한이 개방하면 단둥과 동북3성 전체가 막다른 길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북한이 (완공 후 3년 7개월째 미개통된) 신압록강대교 개통에 동의한다면 교역이 활발해지고 관광 분야도 활성화할 것"이라며 미래 경제개발에는 기계장비가 필요하므로 북한에 제품을 수출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단둥 랑터우(浪頭)신도시와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신압록강대교는 2014년 10월 완공됐으나 지금까지 개통되지 않았다. 지리적 위치의 이점으로 단둥, 지린(吉林)성 바이산(白山), 옌볜조선족자치주 등 북중 접경 도시는 국경 관광 붐을 기대할 수 있다.

글로벌타임스는 "인터뷰에 응한 많은 사람이 북한 개방을 확신하며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견해를 나타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단둥의 한 공무원은 "지난달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북한 개방에 관한 조언을 담은 USB 디스크를 건넸다고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 소식통이 말해줬다"며 "그중 일부는 북한 서해안 경제특구 개발 및 외자 도입에 관한 것이고, 랴오닝성 다롄~북한 나진~한국 충청북도를 연결하는 고속철도 건설에 관한 것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