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한 카운터파트 간 북미고위급 회담이 내달 9일(현지시간) 전후로 뉴욕에서 열리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 5월 말 뉴욕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을 만난 지 5개월여 만에 뉴욕 고위급 회담 채널이 재가동되는 것이다.
이번에 다시 열리는 고위급 채널을 통해 한동안 답보상태인듯했던 북미 간 빅딜 논의에 돌파구가 마련되는 동시에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가 다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한국과 미국 내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북미고위급 회담이 11·6 중간선거 직후인 내주 후반인 9일께 뉴욕에서 열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북측 고위 인사가 8일 도착해 9일 북미고위급 회담을 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북미 간 협상의 특성상 날짜가 막판에 추가로 조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이번에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가 누가 될지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김 부위원장이 될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미국 측은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은 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 7일 4차 방북 당시 면담 자리에 김 부위원장을 배석시키지 않는 등 군 출신의 강경파인 김 부위원장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미국측 정서를 감안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이자 대남협상을 총괄하는 인사로서 여전히 김 부위원장을 신뢰하고 있다는 얘기가 외교가 안팎에서 나온다.
이번에도 김 부위원장이 폼페이오 장관의 카운터파트로 나설 경우 '폼페이오-김영철 라인'의 뉴욕 북미고위급 회담 채널이 재가동되는 셈이다.
워싱턴 외교가 안팎에서는 뉴욕에서 열릴 것으로 보이는 이번 북미고위급 회담이 지난 1차 때에 이어 북미 간 교착국면을 뚫고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로 이어지는 '징검다리'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이번 북미고위급 회담에서는 일단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가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의 비핵화 초기 실행조치와 이에 대한 미국의 상응조치를 주고받는 '빅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해선 폼페이오 장관의 지난 7일 4차 방북 당시 합의사항인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 문제를 비롯해 동창리 엔진 시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영변 핵시설 관련 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북미 간에 기 싸움이 고조됐던 대북제재 완화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일정 부분 접점이 마련될지도 주목된다.
북미는 고위급 회담 후에 실무회담 채널을 가동, 2차 북미정상회담 실행계획 등에 대한 후속 조율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고위급 회담→실무협상'의 순으로 조율이 이뤄진 뒤 내년 초 2차 정상회담에서 이를 토대로 북미 정상이 담판에 나서는 프로세스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