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실패에 대한 정부·여당의 '남 탓'은 끝이 없다. 더불어민주당은 소득 양극화 확대, 고용절벽, 가계부채 급증을 모두 전 정부 탓으로 돌리더니 이제 문재인 대통령은 '언론 탓'까지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말 여당 지도부와의 회동에서 "안타까운 것은 우리 사회에 '경제 실패 프레임'이 워낙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어서 그 성과가 국민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며 "취사선택해서 보도하고 싶은 것만 부정적으로 보도되는 상황이 너무도 안타깝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고 성과도 있는데 언론이 '실패 프레임'을 씌워 문 정부의 공적을 의도적으로 폄훼하고 있다는 소리다. 그런지 아닌지는 경제지표를 보면 단박에 알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이날 '부정적 보도'의 사례로 든 소비동향만 봐도 그렇다. 문 대통령은 "2018년 소비는 지표상으로 좋게 나타났지만 소비심리지수의 지속적 악화를 얘기하면서 소비가 계속 안 되는 것처럼 일관되게 보도했다"고 말했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는 9월에는 전달보다 2.0% 감소했지만 10월, 11월에는 각각 0.2%, 0.5% 증가했다. 증가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이를 소비가 본격적으로 회복됐다고 하기는 어렵다. 이 정도의 미미한 증가세를 "지표상으로 좋게 나타났다"고 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결국 문 대통령이야말로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취사선택의 오류에 빠졌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현실과 괴리된 상황 인식은 이번만이 아니다. 모든 경제지표가 곤두박질하고 있는데도 문 대통령은 지난 11월 국회 시정연설에서 "세계가 우리 경제 성장에 찬탄을 보낸다"고 했다. 이에 앞서서는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소득 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졌는데도 "최저임금 증가의 긍정적 효과가 90% 이상"이라고 했다. 이런 비현실적 '성공 프레임'에 갇혀 있는 한 '경제 실패'는 피할 수 없다. '언론 탓' 할 게 아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