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춘희의 시사로 읽는 한자] 易地思之(역지사지): 처지를 바꿔 생각하면

이춘희 계명대 한문교육과 교수
이춘희 계명대 한문교육과 교수

처지를 바꿔서(易地) 생각하라(思之)는 의미다. 인의(仁義)로 세상을 다스려야 한다는 '맹자'(孟子)의 이루(離婁) 편 상(上)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처지가 바뀌어도 그리 할 것이다)에서 온 말이다.

중국 하나라의 시조 우(禹) 임금과, 농사의 신 후직(後稷)은 태평성대에 세 번이나 자기 집 앞을 지나면서도 집에 들르지 않았다. 공자는 그들을 어질다 했다. 공자의 수제자 안회(顔回)는 어지러운 세상에서 한 소쿠리 밥과 한 바가지 물로 안빈낙도(安貧樂道)를 즐겼다. 공자는 안회가 어질다 했다.

맹자가 말했다 "우와 후직과 안회는 모두 같은 길을 가는 사람이다. 우 임금은 물에 빠진 이가 있으면 자기가 물에 빠진 것처럼 여겼고(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후직은 천하에 굶주리는 자가 있으면 자기가 배곯는 것처럼 생각했다(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그래서 이들을 구제하기에 급급했다(是以如是其急也). 우와 후직과 안회는 서로 처지가 바뀌었어도 그렇게 생각하고 행했을 것이다(禹稷顔子易地則皆然)." 안회가 태평세월에 살았다면 우와 후직처럼 행동하고, 우와 후직이 난세(亂世)에 살았다면 안회처럼 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역지즉개연'이라 했다. 이 표현에서 훗날 서로 입장을 바꿔 생각한다는 '역지사지'(易地思之)가 만들어졌다.

역지사지는 삶의 모든 관계에 적용된다. 사람의 입장은 모두 같지 않다. 당파 간 경쟁이 극에 달한 것 같다. 서로 처지를 바꿔 생각하면 소통이 되지 않을까. 맹자는 '이루' 편에서 "남을 예우해도 답이 없으면 자기의 공경하는 태도를 반성하고(禮人不答反其敬), 남을 사랑해도 친해지지 않으면 자기의 인을 돌아보고(愛人不親反其仁), 남을 다스려도 다스려지지 않으면 자기의 지혜를 반성하라(治人不治反其智)"고 했다. 아집(我執)을 버리고 상대의 입장에서 헤아려야 한다는 지혜를 이른 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