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 1등급컷 국어 131점 ·수학 가 126점

영어영역 1등급 비율 7.43%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컨벤션홀에서 열린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컨벤션홀에서 열린 '종로학원 2020대입 정시지원전략 설명회'에 참석한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입시전문가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수능 영역별 1등급 커트라인(컷)은 국어영역 131점, 수학 가형 128점, 수학 나형 135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어영역 1등급 컷이 132점, 수학 가형이 126점, 수학 나형이 130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국어는 1점 떨어지고 수학은 가형이 2점, 나형이 5점 올랐다. 진학사 등의 입시분석기관에 따르면 원점수의 경우 국어 1등급 컷은 91점, 수학 가형 92점, 수학 나형 84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능 등급컷. 진학사
수능 등급컷. 진학사

표준점수 최고점자(만점자) 비율의 경우 국어영역은 0.16%로 지난해 수능(0.03%)보다 늘었다.

그러나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자 비율은 2018학년도(0.61%)나 2017학년도(0.23%)보다는 적었다.

수학 가형은 0.58%, 나형은 0.21%로 지난해 수능(가형 0.39%, 나형 0.24%)보다 가형은 늘고 나형은 줄었다.

절대평가여서 등급만 나오는 영어영역은 1등급 학생 비율이 7.43%(3만5천796명)였다.

2019학년도 수능(5.30%)보다 소폭 늘어났다. 작년보다 올해 난도가 비교적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 2018학년도 수능(10.03%)과 2019학년도 수능의 중간 수준이었다.

역시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은 1등급 비율이 20.32%(9만8천490명)였다. 한국사 영역도 2018학년도 수능(12.84%)과 2019학년도 수능(36.52%)의 중간 수준이었던 셈이다.

탐구영역 1등급 컷은 사회탐구가 62∼68점, 과학탐구가 64∼68점, 직업탐구가 65∼76점이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65∼80점이었다.

탐구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사회탐구는 경제가 68점으로 가장 높았고 윤리와 사상이 62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는 물리Ⅱ(68점)가 가장 높고 물리Ⅰ·화학Ⅰ·생명과학Ⅱ(각 64점)가 가장 낮았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아랍어(80점)가 가장 높았고 독일어·스페인어·일본어(각 65점)가 가장 낮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