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칼럼] '스토브리그' 백승수 단장과 홍준학

드라마
드라마 '스토브리그'와 삼성라이온즈 홍준학(왼쪽) 단장을 합성한 사진.
최창희 체육부장
최창희 체육부장

'스토브리그'란 프로야구 시즌이 끝나고 다음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 선수의 계약이나 트레이드가 이루어지는 기간에 팬들이 따뜻한 난로(스토브)에 둘러앉아 입씨름을 벌인 데서 비롯된 말이다. 이 기간에 팬들은 응원하는 선수나 구단의 소식에 관심을 두며 새 시즌에 대한 기대와 애정을 키워간다. 구단으로서는 트레이드나 선수 육성 등을 통해 한 해 농사가 결정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최근 이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스토브리그'가 인기다. 현직 선수부터 프런트 직원, 야구팬들은 물론 야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시청자들까지 안방에 앉게 한다. 줄거리는 메이저리그 오클랜드의 이야기를 다룬 할리우드 영화 '머니 볼'과 맥이 닿아 있다. 4년 연속 꼴찌 팀 '드림즈'에 새로운 단장인 백승수(남궁민)가 부임하면서 스토브리그 기간 조직의 잘못된 시스템, 부조리, 악습 등을 없애고 강팀으로 만들어내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통쾌함을 선사한다. 구단 내부의 정치 싸움, 금품수수나 폭행 시비 등 실제 야구계에서 일어난 사건·사고를 드라마에 녹인 것도 현실적이고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드라마에 나오는 드림즈라는 팀이 삼성 라이온즈를 똑 닮았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4년간 꼴찌였던 드라마 속의 드림즈와 2016년 이후 4년째 바닥권을 헤매는 삼성의 성적이 비슷하다. 지난 시즌 때 논란이 됐던 선수단 내 기강 해이 문제와 트레이드를 둘러싼 잡음도 그렇다. 무엇보다 드림즈 해체를 원하는 구단 대주주가 선수 연봉을 30%나 삭감하는 행태와 2016년 1월 대주주가 삼성전자에서 제일기획으로 바뀐 후 투자에 인색한 모기업의 모습이 너무나 닮은꼴이다. 두 팀이 처한 현실은 비슷한데 해결 방법은 사뭇 다르다. 드림즈는 백 단장이 해결사 역할을 하고 있다. 구단의 총액 삭감 압박과 유명 선수의 갑질 버티기를 이겨내고 데이터·분석 야구를 도입해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무엇보다 선수단 기강 잡기, 침체한 분위기를 살리는 데 앞장서고 있다. 드라마 '10회'에 방영된 감독의 기를 살려주기 위해 일부러 비활동 기간 훈련을 고집하다 반발하는 감독의 의견을 수렴하는 백 단장의 모습은 '권한의 위임'을 통한 진정한 리더십이 뭔지를 보여주는 명장면이다.

드림즈와 달리, 삼성의 스토브리그는 조용하다 못해 손을 뗀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팀 내 최다 홈런을 치며 중심을 잡던 다린 러프가 팀을 떠나면서 전력 보강이 시급한 데도 이렇다 할 전력 보강에 나서지 않고 있다. 강민호와 이학주의 트레이드와 관련된 소문도 그렇다. 실명과 더불어 그럴듯한 내용이 거론되면서 선수 개개인의 사기 저하가 우려됨에도 삼성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할 뿐 슬그머니 넘어갈 뿐이었다. 사실이라면 더 큰 문제다. 이들 선수는 지난해 팀 내 드래프트 1순위(2019년)와 80억원대(2018년)의 거액을 주고 데려온 선수인데 트레이드 시장에 내놓는다면 그동안 선수 영입과 육성 실패를 자인하는 꼴이다.

삼성은 올 스토브리그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붕괴한 투수진을 재건하고 결정력 있는 타자를 영입하거나 길러내야 한다. 무엇보다 지난해 문제가 됐던 선수단 내 해이해진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 시즌 때야 감독·선수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비시즌 때는 단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무리 훌륭한 감독이 있더라도 단장이 훌륭한 선수를 모아주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프로야구 개막이 두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홍준학 단장에게 드라마 '스토브리그' 시청을 권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