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 신매동에 사는 김진희(42) 씨는 지난 설 연휴 이후 평소 이용하지 않던 자가용 차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그전엔 수성구 범어동까지 주로 도시철도를 이용했다. 하지만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이 확산한다는 소식을 접하고 대중교통을 꺼리게 됐다. 김 씨는 "혹시 모를 감염 우려 때문에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몰려있는 대중교통을 피하려고 한다"며 "가족 중 어린아이도 있어 특히 더 조심하고 있다"고 했다.
신종코로나 확진자가 늘어나는 등 전염병이 퍼지는 것을 우려해 대구 시민들이 대중교통 이용을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 명절 이후 버스와 도시철도 이용객이 이전보다 줄어들었고, 특히 도시철도의 경우 주말 이용이 가파르게 감소했다.
6일 대구시에 따르면 설 연휴 직후 평일인 1월 28~31일 하루 평균 시내버스 이용자는 61만5천 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주 평일(20~23일) 하루 평균 63만6천 명보다 3.2% 감소한 수치다. 전년 동기 65만6천 명보다는 6.2% 줄었다.
도시철도는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대구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28~31일 하루 평균 45만7천 명이 도시철도를 이용했다. 이는 전주 평일의 하루 평균 48만5천 명보다 5.8% 감소했다.
특히 주말과 휴일의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설 연휴를 지나 신종코로나에 대한 불안이 커진 뒤 첫 주말이었던 이달 1일 토요일의 도시철도 이용자는 37만3천 명에 그쳤다. 올해 1월 토요일 평균보다 13.8%가 줄어든 것. 2일 일요일 이용자는 27만2천 명까지 내려갔고, 이는 1월 일요일 평균 31만9천 명보다 14.7%가 감소한 수준이다.
앞으로 신종코로나가 지속될 경우 대중교통 수요는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지난 2015년 6월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확산됐을 때 대구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의 이용자 수는 전달보다 각각 18.8%와 18.4% 감소했다.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5월과 6월 사이 감소 폭보다 8~10%포인트가량 더 떨어졌다.
대구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안이 높아지자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차량과 역사, 차고지 등의 소독·방역에 나섰다. 버스 내에 손 소독제를 두고, 기사에게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했다.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대구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최근 신종코로나에 대한 우려로 대중교통 수요가 줄어드는 분위기"라며 "승객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방역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