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으로 상향 됐음에도 정세균 국무총리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덩달아 정부의 발걸음도 더딘 양상이다.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체제로 격상되고, 총리가 유례없이 본부장을 맡은 만큼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게 절실하지만 정 총리는 중대본 운영 등과 관련해 언급이 없다. 매주 수, 금, 일요일에 개최해온 코로나19 범정부대책회의가 예정돼 있을 뿐 총리 주재 중대본 회의는 일정에도 없다.
'심각' 상향 뒤 첫날인 24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도 중앙사고수습본부 차원에서 나왔다. 중대본 아래 중앙사고수습본부와 범정부대책지원본부를 둬 지방자치단체와 부처 간 역할과 협조 사항을 조정·조율하고, 지원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또 대구의 상황을 4주 내 안정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앞으로 2주간 대구에서 감기증상을 보이는 시민 2만8천명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방역 조치 및 지원 상황 같은 내용은 전날 발표한 것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이 과정에서 '본부장(총리)'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코로나19 대응 관련 기자간담회를 했지만, 내용은 '속 빈 강정'이나 마찬가지였다. 대구경북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도, 중국인 입국자 금지 조치도 부정적 입장을 되풀이했다.
정 총리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현장은 수습이 어려운 상황이다. 대표적인 것이 마스크 수급이다. 정부는 지난 21일 대구경북에 매점매석 적발 마스크 221만개 공급·지원하기로 한 데 이어 24일 100만개를 직접 구매해 공급했다. 하지만 이 정도론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실제로 이날 21일 지원한 일부 물량이 풀렸지만 태부족이었고, 구체적인 마스크 수급 계획이 나오지 않으면서 시민들은 애간장을 태웠다.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을 차단하는 1차 방어막인 마스크 공급조차 제대로 못 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정 총리는 25일 국무회의를 마치고 대구경북 현장에 내려가 방역을 직접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이를 놓고 총리실 주변에서는 "보여주기식 행보보다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급한 불이라도 끄는 게 먼저 아니냐"는 말들이 나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