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우지수 9.99% 폭락…1987년 블랙먼데이 후 최악

'서킷브레이커' 9일 이후 또다시 발동
코로나19 인한 유럽발 입국금지 충격파 컸다

미국이 유럽발 입국을 금지하는 강경 조치를 도입한 여파로 뉴욕증시가 폭락세를 보인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광판에 전장보다 2,352.60포인트(9.99%) 추락하며 21,200.62를 기록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종가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유럽발 입국을 금지하는 강경 조치를 도입한 여파로 뉴욕증시가 폭락세를 보인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 전광판에 전장보다 2,352.60포인트(9.99%) 추락하며 21,200.62를 기록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종가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미국이 유럽발 입국을 금지하는 강경 조치를 도입한 여파로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충격적인 폭락세를 기록했다.

12일(이하 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52.60포인트(9.99%) 폭락한 21,200.6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60.74포인트(9.51%) 추락한 2,480.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도 750.25포인트(9.43%) 떨어진 7,201.80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987년의 이른바 '블랙 먼데이' 당시 22% 이상 추락한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다. 또 증시 거래가 15분간 중단되는 '서킷브레이커'도 지난 9일 이후 또다시 발동됐다.

시장은 미국의 유럽발 입국 금지 충격파와 주요 정책 당국의 부양책,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일 성명에서 영국과 아일랜드를 제외한 유럽 국가에서의 미국 입국을 30일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도 금지 대상이 된다고 잘못 발언한 이후 트위터를 통해 이 조치는 사람에게만 적용된다고 정정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입국 금지 기간이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적인 지원책도 일부 내놨지만, 시장은 실망했다. 그는 중소기업청에 코로나19 영향을 받은 기업에 저금리 대출을 제공하도록 지시했으며, 이를 위한 기금을 추가로 500억달러 증액하는 안도 의회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중앙은행(ECB) 조치가 기대에 못 미쳤던 점도 주가 하락을 부채질했다.

ECB는 기준 금리인 레피(Refi) 금리를 0.0%, 예금 금리를 마이너스(-) 0.5%로 동결했다. 예금 금리가 인하될 것이란 시장 기대와 어긋났다. ECB는 새로운 장기대출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양적완화(QE)도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1천200억 유로 추가 확대하기로 했지만, 시장 불안을 달래지는 못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