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 70일이 되었다. 정부가 '개방 방역'을 자화자찬하는 동안 전염병 바이러스와 가장 고된 사투를 벌여온 사람들은 의료진이다. 그들도 신체적·정신적인 한계가 있을 것이다. 자칫 의료진의 과부하가 의료 체계 붕괴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더구나 의료진의 잇단 감염은 중대 사안이 아닐 수 없다.
'코로나에 감염된 대구지역 의료인이 121명'이라는 사실을 중앙방역대책본부가 발표할 때까지 대구시가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유감이다. 게다가 이들 중 34명이 신천지교회 신도였다는 것도 몰랐다는 것을 시민들은 어떻게 이해할까. 대구시가 방역 체계에 허점을 드러낸 것은 한두 번이 아니다. 신천지에 대한 대응 또한 늘 한발 뒤처진 모습을 보여온 게 사실이다.
먼저 요양병원 등 취약시설에 대한 1차적인 예방 방역의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신천지 교인의 대규모 감염 사태에 대처하느라 여력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한사랑과 대실요양병원 등의 집단감염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것도 모자라, 같은 건물 위층에 있던 정신병원의 무더기 확진 사례까지 초래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신천지 대구교회에서 숨겨 왔던 중간 단계의 운영시설 2곳에서 47명의 교인이 지역사회 확산 한 달 만에 밝혀지기도 했다. 한마음아파트에서 무더기 확진자가 발생한 데다 신천지 교인이 집단 거주한 것으로 드러난 것 또한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언제까지 신천지에 휘둘리며 시민의 불안감과 불쾌감을 자극할 것인지 답답한 노릇이다.
이번 의료인 감염과 신천지 신도 관련도 그렇다. '정보 공유 부재' '유형별 통계 미비' 등의 해명이 공허하게 들린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는 이유로 의료계의 신천지 신도 명단 요청을 거부한 것도 이해할 수 없다. 지금은 국가의 재난 상황이고 비상사태이다. 시도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집단시설이나 종교 단체에 단호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서울시나 경기도 등의 방역 행정과도 자꾸만 대비가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