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에 의존해 지난 28년간 '침체 없는 경제성장'을 누려온 호주가 올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탓에 큰 타격을 받게 됐다.
9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외국에 거주하는 국적자나 영주권자의 귀국만을 허용해 내년 6월까지인 2021년 회계연도 내 순이민자가 3만6천명에 그칠 것이라고 최근 발표했다. 3만6천명은 지난 6월 30일까지였던 2020년 회계연도 순이민자 전망치 16만8천명의 21%, 2019년 회계연도 순이민자 23만9천600명의 15% 수준이다.
모리슨 총리가 밝힌 대로 순 이민자 수가 줄면 2021년 회계연도 호주 인구성장률은 0.7%로 1917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코로나19 대유행 때문에 외국인 입국 제한 조치 여파에 따른 결과이다. 호주의 인구는 약 2천550만명으로 2019년 인구성장률은 1.4%였다.
문제는 호주가 경제성장의 상당 부분을 이민에 의존해왔다는 점이다. 호주 인구 증가의 60%는 이민에 따른 것으로 '이민자의 나라'로 꼽히는 미국보다 비중이 높다. 이민자 증가는 노동 인구를 늘리고 학교나 병원 등에 대한 투자를 일으키고 집값 상승을 이끌기도 했다.
또 호주 순 이민자 가운데 약 60%를 차지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간 200억달러(약 23조원) 규모의 유학 산업은 호주의 4번째로 큰 수출 산업이다. 톰 케네디 호주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유학생 감소가 경제에 끼친 악영향은 학기가 종료된 뒤에 더 심해질 수 있다"면서 "학업을 마친 유학생들이 호주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부 경제분석가는 내년 호주 집값이 수요 감소에 따라 10~20% 하락해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면서 주택 수요가 19만채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멜버른과 시드니 교외에 불었던 '아파트붐'이 사그라지면 건설 경기가 침체할 수 있다.
케네디 이코노미스트는 "2020년 회계연도에 이민이 호주 GDP 성장률에 기여하는 수준은 0.5%포인트로 지난 5년 평균 1%포인트보다 낮을 것"이라면서 "의미를 부여할만한 하락 폭"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