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천댐 상류 하수도 정비, 일 터지기 전에 서둘러야

영천댐 상류지역 하수도 정비사업 배치도. 영천시 제공
영천댐 상류지역 하수도 정비사업 배치도. 영천시 제공

경북 영천시와 포항·경주시민은 물론, 가뭄 시 대구시민의 비상 식수원인 금호강에 물을 대는 영천댐 상류의 하수도 정비사업이 예산 부족 탓으로 방치되고 있다. 영천댐 상류의 8개 마을에서 나오는 생활 오폐수가 공공하수처리시설을 통해 걸러지지 않고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흘러들고 있다. 댐 수질 오염도 걱정이지만 예기치 못한 물질이 유입되면 댐 물을 공급받는 지역 주민들 피해는 피할 수 없다.

지난 1980년 조성된 영천댐은 영천 등 주변 3곳 시(市) 지역 식수원이자 농·공업 용수로 하루 40만t의 물을 대는데, 금호강의 하천 유지수로도 쓰인다. 특히 금호강물은 지난 2018년 극심한 가뭄으로 청도 운문댐 식수난이 이어지자 대구시가 급히 비상급수시설을 갖춰 취수원으로 활용한 수자원이다. 즉 영천댐은 주변 4개 도시의 수십만 가구에 마실 물을 공급하는, 없어서는 안 될 식수원인 셈이다.

이 같은 식수원으로서의 역할에 걸맞은 영천댐 수질 보호 대책 마련은 마땅하다. 그런 대책으로 댐 상류 마을에서 흘러나올 각종 오폐수 처리를 위한 하수도 정비사업은 피할 수 없는 조치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댐 상류 마을 가운데 성곡리 1곳만 지난 2013년 하수도 정비사업 계획에 반영됐을 뿐이다. 그러나 다른 8개 마을 630가구 1천100여 명이 배출하는 생활 오폐수에 대해서는 지금껏 아무런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으니 그냥 둘 수 없다.

이들 지역 하수도 정비사업에는 360억원이 드는 반면,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만으로 두고 있으니 환경부와 수자원공사 등 관계 당국의 안일한 자세는 너무 무책임하다. 불의의 오염 사고가 생길 경우, 생명을 위협할 식수원 문제를 경제성 잣대만으로 판단하는 일이 과연 마땅한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시민의 안전한 먹는 물을 책임진 영천시 행정도 한심하다. 문제 발생에 따른 사후 처리보다 사전 대책 수립이 낫다는 사실은 수많은 사례가 증명한다. 환경부 등은 사업 판단 잣대를 바꾸고, 영천시도 예기치 못한 사고 재앙이 터지기 전에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