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용지원금 끊기는 10월 '도미노 해고' 닥치나

여행업 등 일부만 2개월 연장…소상공인·중소기업 90% 경영난

코로나19로 미뤄진 등교 개학이 다시 시작된 지난 5월 20일 오후 대구 중구 경북여자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비대면 급식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코로나19로 미뤄진 등교 개학이 다시 시작된 지난 5월 20일 오후 대구 중구 경북여자고등학교에서 고3 학생들이 비대면 급식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DB

위탁급식대행업체인 A사는 오는 10월이면 현재 30명의 직원 중 상당수를 해고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상반기 매출이 '0'(제로)인 상황에서 그나마 정부 고용유지지원금(이하 고용지원금)을 통해 고용을 유지했지만 다음달이면 이 지원금이 끊기기 때문이다.

A사 관계자는 "정부가 일부 업종에 대해서만 고용지원금 지급 기간을 2개월 간 연장 해주는 것은 현 경제 상황을 너무 안이하게 보는 것"이라며 "고용지원금을 받아도 4대보험과 추가 10%의 임금 부담 등으로 인해 적자폭이 상당한데, 그마저도 끊긴다면 1개월 해고 금지기간이 끝난 뒤 해고하고 실업급여를 받게하는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코로나19 재확산이 급속도로 번짐에 따라 하반기 경영 정상화를 기대했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벼랑끝에 내몰리고 있다. 정부 고용지원금을 통해 적자를 감수하면서라도 근근히 버텨왔던 업체들은 고용지원금 혜택이 끝나는 9월 이후 대량 해고 사태를 예고하고 있다.

정직원 20여 명이 절반씩 돌아가며 고용지원금을 받아 근근히 버텨왔던 성서산단의 화섬업체인 B사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공장가동률이 50%에 못미치다보니 지원금이 끝나는 10월 이후에는 구조조정을 해야할 판이다.

이처럼 상당수 기업은 고용지원금을 '인공호흡기'로 삼으며 하반기 이후 경기 회복 등을 기대했으나 코로나19의 재확산에다 내달부터 순차적으로 지원금이 종료되면서 그야말로 존폐 위기에 처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 23일까지 고용유지조치계획을 신고한 사업장은 7만7천453곳으로 지난해(1천514건)의 51배에 달한다.

이 중 정부가 추가 60일 지원을 연장키로 한 여행업·관광운송업·관광숙박업·공연업·항공지상조업·면세점·공항버스·전시·국제회의업 등 8개 특별고용지원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하다. 나머지 10곳 중 9곳은 지원 혜택 중단으로 심각한 경영난에 봉착하게 된다.

B사 관계자는 "코로나 백신 개발 등 내년 이후 업황이 나아질 때까지 정부가 고용유지지원금 지급 기간을 연장해줬으면 한다"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