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은 농산어촌이 많은 지역이다. 이같은 특성을 살린, 경북도교육청의 '작은 학교 가꾸기' 사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작지만 교육 경쟁력을 갖춘 학교를 육성한다는 정책이다.
도교육청은 2020년 적정 규모 학교 육성 계획을 발표하고 다양한 학교 활성화 정책을 내놓고 있다. 소규모학교와 나머지 학교 학생들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소규모학교의 교육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교육부의 '작은 학교' 기준은 초교 경우 학생 수가 면·벽지 60명 이하, 읍 지역 120명 이하, 도시 지역 240명 이하인 학교다. 중·고교는 면·벽지 60명 이하, 읍 지역 180명 이하, 도시 지역 300명 이하가 기준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경북 초·중·고교 전체 960곳 중 48.1%인 462곳(올해 3월 1일 기준)이 교육부 권고 기준에 해당한다.
학생 수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교육청이 꺼내든 카드가 '작은 학교 가꾸기' 사업이다. 작은 학교 가꾸기는 농어촌 소규모학교를 학생들이 '돌아오고 찾아가는 학교'로 육성하는 게 목표.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지원 중이다.
지난 2018년 초등 10개교, 중등 3개교에 이어 지난해엔 총 12개교가 사업 대상 학교로 선정됐다. 3년 주기인 이 사업에 선정된 학교들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꿈을 키울 수 있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호응을 얻고 있다. 교과와 연계해 우리생활 SW교육체험, 여름·겨울 계절체험, 인문감성 문화예술체험, 우주천체체험, 승마 등 내실 있는 현장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아울러 이 사업 중 하나로 방과후 강사를 구하기 어려운 청송, 영덕, 청도 등 경북 6개 교육지원청은 '순회강사제'를 운영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6개 교육지원청에는 각 2억원씩 모두 12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임종식 경북도교육감은 "작은 학교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해 '작지만 강한 학교'를 육성하겠다"며 "아이들이 스스로 찾아오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