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이 -1.3%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석 달 전인 5월 말에 내놓은 전망치 -0.2%에서 1.1%포인트나 떨어졌다. 예측대로라면 1998년 외환위기 때 -5.1% 이후 22년 만에 최악의 역(逆)성장에 빠지게 된다. 무엇보다 코로나 재확산이 경제 발목을 잡았다. 국제적으로도 코로나 확산세가 꺾이지 않아 수출과 소비 개선 흐름이 예상보다 더딘 것이 경제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더 우려되는 점은 한은 전망보다 경제가 더 추락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성장률 -1.3%는 코로나 재확산이 10월 초부터는 잦아들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코로나 재확산 추세가 겨울까지 이어지면 성장률이 -2.2%까지 추락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3단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된다면 경제는 가늠할 수 없는 최악 상황에 빠질 수밖에 없다.
정부가 기대했던 경제 'V자 반등'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올해 경제성장률 1위로 예상될 만큼 가장 선방하는 나라로 평가받고 있다"는 자화자찬이 보름여 만에 무색해지고 말았다. 장밋빛 낙관론에 취해 경제 실상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잘못을 더는 저질러서는 안 된다.
경제가 고꾸라지는 상황에서 2차 긴급재난지원금과 4차 추가경정예산 등 재정 투입 방안 논의가 한창이다.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둬야 할 때다. 마침 정부가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현금 1조원을 국민에 지급할 경우 국내총생산(GDP)은 2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칠 것이란 한은 분석이 나왔다. 실효성 논란이 큰 만큼 2차 재난지원금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재난지원금은 한 번 쓰면 없어지기 때문에 2분기에 0%에 가까웠던 정부 투자를 더 늘려 성장률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에 귀를 기울일 만하다. 재정을 통한 링거 요법으로는 경제 위기를 헤쳐 나갈 수 없을 정도로 코로나 사태가 장기 국면에 접어들었다. 기업을 살리고 경제 체질을 개선하는 등 근본 처방을 통해 정부가 경제 위기 해법을 찾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