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키스트 아워'(Darkest Hour·어둠의 시간). 윈스턴 처칠은 영국에 닥친 위기를 이렇게 표현했다. 프랑스마저 나치에 무너지고 유럽에서 외톨이가 된 영국은 절체절명의 순간에 처했다. 처칠은 "내가 바칠 것은 피와 땀과 눈물밖에 없다"는 명연설로 국민을 통합해 전쟁에서 승리했다. 지도자의 역량이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보여준 사례다.
옥포해전을 앞두고 이순신 장군은 부하들에게 '물령망동 정중여산'(勿令妄動 靜重如山·가볍게 움직이지 마라. 태산같이 침착하고 무겁게 행동하라)이라고 했다. 위기에 처할수록 더 진중해져야 한다는 뜻이다.
위기 상황에서 지도자의 언어(言語)는 천금(千金)의 무게를 갖는 법이다. 시의적절한 지도자의 말 한마디가 국민을 하나로 뭉치게 해 위기를 돌파하는 힘이 될 수 있다. 반대로 특정 집단을 공격하고 분열을 조장하는 지도자의 언어는 위기를 더 키우는 것을 넘어 국가를 무너뜨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코로나 재확산 와중에 SNS에 올린 의사·간호사 갈라치기 글로 말미암은 후폭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하다 하다 의사와 간호사까지 편 가른다" "대통령이 (국민) 이간질하는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라는 등의 댓글이 폭주했다. 비판이 쏟아지자 청와대는 문제의 글을 쓴 사람은 대통령이 아니라 비서관이라며 책임을 돌렸다.
'대통령 의중을 잘못 읽은 참모의 잘못'이란 식의 청와대 해명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반대로 비서관이 문 대통령 의중을 정확히 읽어 문제의 글을 올린 것으로 보는 게 맞다. 문 대통령은 집단 휴진한 의사들을 전장을 이탈한 군인에 빗대며 본분을 망각한 행태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비서관이 올렸다고 하더라도 문제의 글이 문 대통령 의중을 충실히 반영한 것으로 보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 대통령에게 누를 끼친 것을 고려하면 열 번을 자르고도 모자랄 비서관을 청와대가 그냥 두는 것 역시 이런 추측을 뒷받침한다.
조국 사태, 부동산 대란, 한·일 무역 분쟁 등 위기마다 편 가르기와 갈라치기를 워낙 많이 한 정권이어서 의사·간호사 갈라치기도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국민을 사분오열시켜 이 나라에 닥친 위기를 어떻게 돌파할지가 걱정일 뿐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