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출을 받아 대구 한 시장에 분식집을 차린 A(52) 씨. 잦은 사업 실패로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마지막 희망이라는 생각으로 창업을 결심했다. 그러나 올해 초 코로나19 충격으로 하루 10만원이던 매출이 1만원대로 떨어지게 되자 가게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다.
택배 등 일용직을 전전하던 A씨는 인근 노숙자 쉼터로 발걸음을 옮기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행정복지센터를 찾았다. 그곳에서 '대구형 희망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는 소식을 들은 A씨는 지난 8월부터 이달까지 대구 한 구청 세무과에서 일했다.
A씨는 "번호판 영치, 체납세 징수 등 행정 사무를 도우면서 나도 일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라며 "틈틈이 시간을 내서 최근 버스 운전 면허증 취득했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8월부터 시작된 대구형 희망일자리 사업이 이달 종료된다. 공공분야 일자리 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 대구형 희망일자리 사업은 실직자 등 취약계층에게 희망이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구시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대구형 희망일자리를 거쳐 간 시민은 모두 1만6천685명이다. ▷실직자 4천39명 ▷휴폐업 자영업자 941명 ▷특수고용, 프리랜서 578명 ▷장애인 566명 ▷여성가장 352명 ▷한부모 가정 152명 ▷저소득층 2천766명 ▷청년 및 기타 취업취약계층 7천291명 등 모두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시민들이었다.
유형별로는 50대가 4천920명(29%)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3천941명·24%)과 40대(3천683명·22%)가 뒤를 이었다. 2, 30대는 각각 2천72명(12%), 2천69명(12%)이었으며 여성(64%)이 남성(36%)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참여 전 직업을 묻는 질문에는 무직이 4천695명(28.1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일용직(3천765명·22.56%)과 서비스업(2천77명·12.44%), 자영업(1천893명·11.34%)이 뒤를 이었다.
생활방역지원과 환경 개선, 공공업무지원 사업 등에 참여한 시민들은 사업별 장소에서 주 15~40시간씩 근무하며 매월 67~180여만원(시급 8천590원)의 급여를 받았다. 대구시는 추진 과정상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고 참여자들의 각종 사연을 담은 자료집도 펼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공공일자리 자체가 업무 강도가 낮고,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지만 긴급 희망 일자리마저 없었다면 이겨내기가 더 힘들었을 것"이라며 "내년도에도 관련 사업이 더 확대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에 지속해서 건의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