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날 제사상 차릴 제물 사러 가는 날, 신작로를 따라가던 어메는 아베의 그림자를 밟지 않으려고 멀찌감치 뒤처져 걷는데 "퍼뜩 안 오고 뭐하노?" 아베의 지청구를 들었는지 못 들었는지 아무런 반응이 없다. 늘 먼저 앞서가던 아버지, 잠시, 기다린다. 어메가 "뭔 걸음이 그리 빠르니껴?" 아베의 눈빛이 흔들린다.
아베가 폐렴으로 저 세상 먼저 가던 날, 눈물 한 방울 없이 발인에도 들어오지 않고, 영정 앞에 초점 없이 앉아 계시던 어메, 상여가 장지로 올라갈 때도 뒤처져 오시던 어머니, 봉분을 쌓고 아베 옷가지를 태우며 부지깽이를 들었던 손이 힘없이 땅바닥으로 떨어질 때 "느그 아베는 맨날 앞에서 빨리 오라 카디만 저래 먼저 가네"
시인의 고향인 경상북도 영양은 오지 중의 오지. 장례문화며 이런저런 것들이 급속도로 바뀌어 갈 때도 비교적 늦게까지 옛 풍습이 그대로 남아 있던 곳이다. 1980년대 후반 나는 그곳에서 만 3년을 살았다. 연탄공장 사장이랬나, 출향 사업가 중 한 사람이 유명을 달리했고 어쩌다 나도 일당을 받고 상여꾼으로 그 장례에 참가하게 됐다. 영양초등학교 뒷산, 장지로 올라가는 길은 가파르고 좁았다. 결국 상여에서 관을 분리해 영차영차 네 사람이 목도를 해서 올라갔다. 그것은 그냥 일당을 받은 자가 마땅히 행해야 하는 노동일 뿐. 나는 주검이 든 관을 목도해 올라가는 그 목도꾼 중 하나였다. 경건이며 애도며 그런 것과는 거리가 멀어도 한참이 멀었다. 영양에서의 그 경험은 세월이 한참이나 흘러갔어도 여전히 잊히지 않는 기억으로 남아 있다.
55세를 일기로 내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도 그렇다. 어머니는 장지를 정하는 일부터 이것저것 챙기느라 바쁘기만 했다. 백관들이 양쪽으로 나누어 서서 관을 들고 나가고, 내 아버지의 주검이 모셔져 있던 고향집 안방엔 굵고 흰 소금이 뿌려졌다. 나는 소금을 뿌리는 그 소리와 행위가 매우 서럽고 무섭게 느껴졌다. 그 기억은 잊히지가 않고 여전히 남아 있다.
내 고향 마을 뒤 개울가에는 망자의 옷가지며 이불이며 유품들을 태우던 자리가 있었다. 사람 죽지 않는 해는 없어 그곳은 늘 시커멓게 그슬려 있었는데 나는 그곳을 지나갈 때마다 늘 고개를 돌리고 딴 곳을 보려고 애를 썼다.
죽음의 흔적이란 무얼까?
시인의 아버지나 내 아버지나 다 걸음이 빨랐던 분들인 것 같다. 걸음이 빨라 아내들을 남겨두고 일찌감치 이곳을 떠나가신 것 같다. 십이월이다. 겨울이다. 춥다. "느그 아베는 맨날 앞에서 오라 카디만 저래 먼저 가"버렸다는 어머니들의 깊고 외롭고 쓸쓸한 삶을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시인 유홍준:1998년 『시와반시』로 등단. 시집 『喪家에 모인 구두들』 『나는, 웃는다』 『저녁의 슬하』 『북천-까마귀』 『너의 이름을 모른다는 건 축복』이 있다. 시작문학상 이형기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