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사망하거나 요양원에 입소하면서 생겨 나는 빈집들이 농촌 지역사회의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지방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되는 경북의 경우 2018년 6천968호이던 도내 빈집들이 2019년 1만1천816호를 기록한 데 이어 2020년 9월 현재 1만3천404호를 기록하는 등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청송과 군위, 의성, 예천의 경우 빈집 비율이 4%를 넘어설 정도로 농촌지역 빈집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부동산 가치가 떨어지는 농촌 빈집들은 거래조차 잘 안 돼 장기 방치 수순으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빈집은 붕괴 또는 화재 위험, 야생동물 출입, 쓰레기 투척, 생활환경 훼손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지자체들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 8월 농어촌정비법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빈집 신고제 및 재활용 정비사업이 시작됐지만 늘어나는 빈집의 수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다. 재앙적인 출산율 저하와 인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날로 심해지고 있는 이상 농촌지역의 걷잡을 수 없는 빈집 증가는 시간문제다. 30년 뒤에는 전국 시·군·구 가운데 46%가 소멸 위험에 빠진다는 예측도 있다. 특히 경북은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경북도 내 23개 시·군 중 19개 시·군이 소멸 위험에 직면해 있고 이 중 7개 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이다. 고령화율도 경북은 21.7%로 전국 평균치(16.4%)보다 월등히 높다.
농촌지역 빈집 증가는 지방 소멸의 대표적인 징후다. 이대로 놔두다가는 대한민국이 재앙적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출산율 저하도 문제지만 우리나라 총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절반이 넘는 인구가 사는 쏠림 현상을 해소하지 않고서는 지방 소멸을 막는 해법도 나올 수 없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 및 지방균형발전 시계는 노무현 정부 때 이후 멈춰 서 있다. 지방분권과 지방균형발전은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실효적인 대책을 세우라. 시간이 없다.
댓글 많은 뉴스
김문수, 대선 양자 대결서 앞섰다 46.4%…이재명 41.8% [영상]
이재명 "이념·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아…지지율 겸허히 수용"
尹 탄핵 기각 47.8% vs 탄핵 인용 47.4%…하락한 '尹 탄핵론'
尹, 옥중 서신 "설 다가오니 국민 여러분 생각…작년보다 나은 한해 되시길"
권성동 "선관위 불신·시스템 취약…선거 시스템 전반 살펴볼 필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