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두서가 아낀 재종(再從) 동생 심득경(1673-1710)은 38세에 요절했다. 진사시에 나란히 합격했으나 정쟁이 심했을 때라 둘 다 대과를 포기하고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벼슬이 없다는 것은 조선 사대부들이 지식인의 사명으로 여겼던 왕을 보좌해 백성을 이롭게 한다는 '치군택민'(致君澤民)을 실현할 방도가 없다는 뜻이다. '공부해서 뭣하나'라는 자괴감을 떨칠 수 없었을 것이다. 뜻을 펴지 못한 동병상련의 처지였던 심득경의 이른 죽음을 애통해하며 그의 가족에게 제사 때 걸으라고 윤두서가 그려 준 그림이 '심득경 초상'이다.
'자화상' 외에는 당대 인물을 그린 윤두서의 유일한 초상화이고 남아있는 그의 그림 중 가장 크다. '심득경 초상'으로 확인되는 화기(畵技)의 치밀함은 여가의 취미생활을 넘어선다. 윤두서는 조선 지식층의 그림에 대한 태도가 진지한 전문성으로 전환하는 첫 머리에 있다. '심득경 초상'은 새로운 유형의 문인화가가 출현했음을 알려주는 정식 초상화라는 점, 18세기 초 한 재야 지식인의 평상복 차림 인물화라는 점에서도 각별하다.
'심득경 초상'은 동파관을 쓰고 도포를 입은 심득경이 등받이가 없는 사각 의자에 두 손을 모으고 단정하게 앉아있는 전신의좌상(全身椅坐像)이다. 얼굴은 왼쪽이 80% 정도 보이는 좌안팔분면(左顔八分面)이다. 맑은 얼굴색과 짙은 수염, 붉은 입술을 비롯해 도포의 옅은 청회색, 하늘색 도포 끈, 연두색 신발, 흰 옷깃과 버선 등의 색채는 심득경의 모습에 사실감과 침착한 생동감을 더한다. 명암을 넣은 가는 선묘의 옷 주름이 자연스러운 것을 보면 이런 옷을 입힌 비슷한 몸집의 모델을 앉혀 놓고 그렸을 듯하다. 얼굴과 이목구비는 연한 갈색 선으로 윤곽을 그렸고 오목한 부분에 은은하게 음영을 주었다. 콧수염과 턱수염은 한 가닥 한 가닥 세심하게 그렸고 속눈썹과 귀에 난 잔털도 한 올 한 올 정성스럽다.
제일 위에 예서로 크게 쓴 '정재처사(定齋處士) 심공(沈公) 진(眞)' 표제가 있고, 얼굴 옆쪽으로 좌우 두 부분에 옥동 이서(1662-1723)가 지은 찬문 2편이 있다. 오른쪽 아래는 윤두서의 낙관이다.
유(維) 왕삼십육년(王三十六年) 경인(庚寅) 십일월사(十一月寫) 시(時) 공(公) 몰후(歿後) 제사월야(第四月也) 해남윤두서(海南尹斗緖) 근재심사(謹齋心寫)
왕 36년인 경인년(1710년) 11월에 쓰다. 때는 공이 죽은 후 4개월째이다. 해남 윤두서가 삼가 재계하고 심사(心寫)하다.
숙종 36년 11월 심득경이 작고한 4개월 만에 이 그림을 완성했음을 밝혀놓았다. 조선 후기 미술비평가 남태응(1687-1740)은 이 그림이 심득경의 집으로 오자, 온 집안 사람들이 놀라 울면서 마치 심득경이 되살아난 것 같다고 했다는 말을 '청죽화사'(聽竹畵史)에 기록해 놓았다.
미술사 연구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