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죽기 직전 과거가 주마등처럼 스쳐간다'는 말 사실?…과학적 증거 발견

사진과 기사내용은 무관함.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사진과 기사내용은 무관함.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흔히 '죽기 직전 지나온 삶이 주마등처럼 스쳐간다'고 하는 말이 사실일 수 있다 과학적 증거가 발견됐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각) BBC는 미국 루이빌 대학교의 신경외과 전문의인 아즈말 젬마 박사가 속한 한 연구팀이 22일 발간된 '노화 신경과학 프론티어스(Frontiers in Noing Neuroscience)'에 실은 뇌 활동 연구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밴쿠버에 본부를 둔 이 연구팀은 뇌전증(간질)에 걸린 87세 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었다.

그러던 중 이 환자가 예상치 못한 심장마비를 일으켜 사망하면서 그의 뇌파가 사망 전 약 30초 가량 꿈을 꾸거나 기억을 떠올리는 것과 같은 패턴을 따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런 종류의 뇌 활동은 사람의 마지막 순간에 '삶에 대한 회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젬마 박사는 "죽어가는 뇌의 뇌파를 최초로 기록한 것"이라며 "이것은 전적으로 우연이었고 애초에 이런 뇌파를 기록할 계획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죽기 전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행복한 추억들을 다시 볼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에는 "알 수 없다"는 답변을 내놨다.

다만 "만약 철학적 영역에서 바라본다면 뇌가 플래시백을 할 때 아마도 나쁜 것보다는 좋은 것을 상기시켜주고 싶을 것이라고 추측되지만 사람마다 기억에 남는 것은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젬마 박사는 "환자의 심장이 뇌에 혈액 공급을 중단하기 30초 전 우리가 집중하거나 꿈을 꾸거나 기억을 떠올리는 것과 같은 인지 능력이 높은 작업을 수행할 때와 같은 뇌파 패턴이 발생한다"며 "이는 환자의 심장 박동이 멈춘 후 30초 동안 계속된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그 시점에 환자들은 사망 선고를 받는다.

젬마 박사는 "아마도 이것은 우리가 살면서 경험했던 기억에 대한 마지막 회상일 수 있다"면서 "그것들은 우리가 죽기 전 마지막 몇 초 동안 우리의 뇌를 통해 재생된다"고 전했다.

BBC는 이 연구가 또한 언제 심장이 뛰는 것을 멈추는지 뇌 기능이 멈추는지 등 생명이 정확히 언제 끝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하나의 연구를 가지고 광범위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다"며 "특히나 해당 환자가 뇌출혈과 간질 환자라는 사실을 참고해야 한다"고 했다.

젬마 박사는 "2016년 최초 뇌파 촬영 이후 수년 간 비슷한 사례를 찾아봤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한편, 2013년 건강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와 비슷한 결과가 도출된 바 있다. 미국의 한 연구원들은 젬마 박사 연구팀이 발견한 것처럼 쥐의 심장이 멈춘 뒤 30초까지 사망 지점에서 높은 수준의 뇌파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

젬마 박사는 "연구들 간의 유사성이 놀랍다"며 "이 하나의 인간 사례를 시작로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대한 다른 연구의 문이 열리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