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처음 출범했을 때, 소비자와 생산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가격 비교를 편리하게 함으로써 물가를 끌어내리는 효과가 나타났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같은 물건을 편리하고 값싸게 살 수 있으니 이보다 좋은 것을 찾기 어려웠다. 이를 '아마존 효과'라 불렀고, 소비자들은 IT(정보통신기술)를 기반으로 한 거대 플랫폼 기업에 '중독'되었다. 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획득한 미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은 올해 1월과 4월 판매 수수료를 5%씩 올렸다. '플랫폼의 배신'이 시작된 셈이다.
플랫폼의 배신은 배달·택시·쇼핑 등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는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산했다. 뉴욕시는 음식 배달 앱 수수료가 매출의 30%까지 올라가는 수준으로 폭등하자 총수수료율을 최대 20%로 묶어두는 법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비단 미국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올해 6월 기준 우리나라 음식 배달 시장에서 배달의민족(배민),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 앱 이용자는 무려 3천182만 명(중복 포함)이다. 3개사의 시장 점유율은 97%에 이른다. 이런 상황을 활용(?)해 배민과 쿠팡이츠는 올해 초 수수료 체계를 개편했다. 이전에 배달 1건당 수수료 1천 원에 배달비 5천 원 받던 것을, 배달비를 최고 6천 원으로 올리고 수수료는 최고 27% 인상했다.
소비자는 '그물 안에 든 물고기'나 마찬가지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더욱 '주문 배달'에 익숙해진 자영업자와 소비자는 선택의 여지없이 플랫폼 기업의 '봉'으로 전락했다. 1년 전 대구형 공공 배달 앱 '대구로'가 출시된 배경이다. '대구로'는 민간 배달 앱이 8~10% 수준의 수수료를 책정하는 것과 달리 2% 중개 수수료, 2.2%의 카드 수수료를 제공해 대구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크게 줄였다. 불과 1년 만에 주문 금액 617억 원, 회원 수 26만 명, 다운로드 55만 회, 주문 건수 260만 건, 가맹점 수 1만2천 개의 실적을 올렸다. 대형 배달 앱과 비교할 때,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긴 하다. 그러나 이 정도만으로도 대구 상인들은 36억 원의 수수료 절감 효과를 누렸다. 대구 시민들의 배달 앱 '대구로'는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크게 줄이면서 소비자 물가도 잡는 이중 효과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