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 6·25 전쟁 당시 전황 역전에 결정적 기여를 한 낙동강·형산강 전투와 관련, "우리나라를 보위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후세에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제400회 국회 정기회 제6차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포항 남·울릉)이 "낙동강·형산강 방어 전투에 관해 교과서에 달랑 한 줄 '낙동강 방어선을 사이에 두고 북한군과 치열한 전투가 있었다' 이렇게 밖에 기술돼 있지 않다. 우리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통해 분명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김 의원은 "낙동강과 형산강 전투 현장 전체를 호국안보지구로 지정, 단순한 현충시설이 아니라 VR(증강현실), 메타버스 등 신기술을 활용해 학생들과 국민, 참전용사, 외국 참전용사, 그 자녀도 현장에게 피 흘리며 싸운 기록을 전해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난달 국정감사 중에도 교육부를 향해 낙동강·형산강 전투의 교과서 반영 필요성을 지적했고 "낙동강 전투 주요 사건의 교과서 반영 위해 노력하겠다"는 답변을 끌어낸 바 있다.
이에 더해 6·25 당시 낙동강·형산강 전투 현장 일대를 호국안보지구로 지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질의한 것이다. 김 의원은 "DMZ(비무장지대) 뿐만 아니라 낙동강·형산강 일원의 호국안보 지역도 대한민국의 소중한 호국안보 자산"이라며 "이 공간을 망각하고 방치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직무유기"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체성의 핵심인 자유민주주의를 우리 학생들에게 분명히 가르칠 수 있도록 교육 과정에 분명하기 명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펼쳤다.
이와 관련, 한 총리는 "자유민주주의에 대해 헌법 전문이나 기타 관련 개별법에 우리나라 기본 질서로 표현하는 내용이 많다. 국가 정체성을 갖기 위해 자유민주주의로 하는 게 옳다. 그러한 과정(교육 과정 반영)을 잘 밟아야 한다"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암살 위협받는다는 이재명, 오늘부터 경찰이 신변보호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