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파업 돌입한 화물연대, 지역 경제 물류 대란 현실화 되나

포항, 구미 등 제철소, 공단 중심으로 물류 대란 조짐
정부 강경 대응 방침 속에 물류 대란 장기화 가능성 고개

24일 오전 포항 철강공단 안에서 화물연대 포항지부 조합원들이 파업 출정식을 열고 있다. 독자 제공.
24일 오전 포항 철강공단 안에서 화물연대 포항지부 조합원들이 파업 출정식을 열고 있다. 독자 제공.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24일 0시를 기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포항, 구미 등 대구경북의 물류 차질도 현실화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불법 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을 거듭 밝히면서 파업 장기화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오전 10시 전국 16개 지역본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지난 6월 8일간의 총파업 이후 5개월 만이다.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대구경북지역본부도 이날 오전 10시 구미시청 앞 도로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가졌다. 이날 대구경북지역본부 출정식에는 구미 산단과 김천, 영주, 경산 등 본부 산하 지역 조합원 약 400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차종·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집회를 벌인 뒤 남구미IC와 구미산단 29개 업체, 그리고 김천 10여개 업체, 영주 8~9개 업체 등으로 분산해 집회를 이어갔다. 경북도는 지역 영업용 화물차 2만9천300여대 가운데 화물연대 비중이 6.4% 정도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당장 경북 경제의 두 축인 포항과 구미의 물류 대란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제철소 물량출하가 전면 막히는가 하면 공단을 중심으로 물류 운송에 애를 먹고 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이날부터 하루 출하하는 8천톤(t) 물량을 빼내지 못해 공장 내에 쌓아두고 있다. 포항철강공단 내 290개소 기업 가운데 운송이 필요한 철강제품 1차 가공업체 50개소 기업도 파업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태풍 힌남노로 공장전체 침수피해를 입은 포항제철소의 경우 복구 작업에 악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구미 공단의 기업들 역시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부품을 최대한 확보하고, 주문받은 제품을 미리 출하며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모양새다. 구미 한 경제인은 "여러 차례 화물연대 파업을 경험한 기업들이지만 파업 장기화 여부에 따라 대응책이 달라 질 수밖에 없는 만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귀띔했다.

정부는 6월 파업 때보다도 더 강도 높은 대응 방침을 예고했다. 정부와 화물연대의 강 대 강 구도가 지속, 물류 대란이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파업에 앞서 "불법 행위에 관용 없이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경북경찰청도 화물연대의 전국 동시 운송 거부 등 총파업을 보장하되,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주동자는 추적 조사를 통해 사법처리할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