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태원 참사' 경찰 대응 미흡 정황 확인…국조특위 서울청 현장조사

사건 즉시 출동 명령 전후 '상황 파악·지시 미흡' 확인
서울시 부시장 '대응 2단계' 발령 후 30분 이후에야 연락 받아
우상호 위원장 "사고 때 진실 숨기려는 세력 있다…진실에 가까이 갈 수 있게 최선"

우상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과 특조위원들이 2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의 브리핑을 들으며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우상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과 특조위원들이 2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의 브리핑을 들으며 대화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우상호 위원장과 특조위원들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을 찾아 현장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우상호 위원장과 특조위원들이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을 찾아 현장조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21일 서울경찰청 현장조사에서 10월 29일 사고 당시 참사 직전까지 여러 차례 신고가 이어졌음에도 경찰이 적절히 대응하지 않은 정황을 확인했다.

이날 국조특위의 현장조사는 국민의힘 소속 위원들의 합류로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실시됐다. 국조특위 위원들은 이태원역 인근 합동분양소를 들러 조문한 뒤 이태원 참사 현장인 해밀톤호텔 옆 골목, 이태원파출소,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 서울특별시청 순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날 112치안종합상황실 조사에서 위원들은 참사 당일 오후 6시 34분 최초 신고부터 이태원파출소에 즉시 출동 명령(코드0)을 내린 오후 9시 전후 경찰의 사건 처리와 대응에 대해 조사했다.

박규석 112치안종합상황실장은 이 자리에서 종합상황실의 신고 대응 및 처리에 대해 설명하면서 "코드0이 하루에 수 백 건씩 보고돼 사건을 접수하는 직원이 이를 상황팀장에게 일일이 보고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국조특위 간사이자 경기지방경찰청장 출신인 이만희 위원은 "위험 신호가 현장으로부터 왔으면 거기에 대해 112상황실에서 충분한 경력을 현장에 출동시켜야 하고 거기에 맞는 조치를 취해야 했다"며 "상황팀장은 사건을 인지했는지 확인이 안 되고, 상황관리관은 근무지를 떠나 자기 방에 대기하면서 사건 발생 이후 많이 시간이 경과된 후 알게 되는 불상사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조특위 위원과 서울시 재난대응 관계자 간담회에서는 서울시 재난대응매뉴얼에 따라 대응 2단계 발령 후 5분 내에 부시장에 전파하도록 돼 있지만 30분 이후에야 통보가 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상황판단회의도 매뉴얼 상 30분 이내 열도록 하고 있지만 1시간이 지난 자정 이후에야 열린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후 10시 44분에 모든 관계자가 포함된 카카오톡 채팅방이 만들어졌다"며 "실질적으로 모든 의사소통이 (모바일로)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이에 위원들은 채팅방 내용을 국회에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우상호 국조특위 위원장은 이태원파출소 현장 조사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은 시작"이라며 "하나하나 (사건이 발생하게 된) 근거들을 확인하겠다. 항상 이런 일이 있으면 숨기려고 하는 세력들이 있다. (국조위원이) 열심히 노력해서 파헤치고 여러분이 알고 싶은 진실에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우상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1일 특조위원들과 함께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현장 조사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상호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1일 특조위원들과 함께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현장 조사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현장조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