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사는 국가유공자 A씨는 지난 연말 윤석열 대통령의 연하장을 받고 두 배의 기쁨을 느꼈다. 폐단을 없애고 역량을 결집하겠다는 대통령의 결기를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그 연하장이 고향 경북 칠곡군 칠곡할매글꼴로 만들어져 반가웠다.
칠곡할매글꼴 인기가 고공행진이다. 각계에서 비상한 관심을 받아온데 이어 이번에는 대통령 연하장에 등장해 화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칠곡할매글꼴을 휴대용저장장치에 담아 유물로 영구 보존했고 한컴오피스·MS워드·파워포인트에 정식 글씨체로 등록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첫 새해를 맞은 지난 연말 '칠곡할매글꼴'로 쓴 연하장을 국가와 사회발전에 헌신한 각계 인사들에게 보냈다. 연하장에는 '위 서체는 76세 늦은 나이에 경북 칠곡군 한글 교실에서 글씨를 배우신 권안자 어르신의 서체로 제작되었습니다'라고 적혀 있다.
윤 대통령은 2년 전 검찰총장 신분일 때도 젊은 세대와 소통하기 위해 자신의 SNS에서 칠곡할매글꼴을 사용했다. 그때 "칠곡군 문해교실에서 한글을 배운 어르신의 사연을 듣고 SNS에 사용하게 됐고, 어르신들의 손글씨가 문화유산이 된 것과 한글의 소중함을 함께 기리는 차원"이라고 설명하면서 큰 관심을 보였다.
칠곡할매글꼴은 칠곡군 성인문해교실을 통해 뒤늦게 한글을 배운 할머니 글씨 400개 중 추유을(89), 이원순(86), 이종희(81), 권안자(79), 김영분(77) 할머니 글씨 5종으로 2020년 말 만든 컴퓨터 문서용 글씨체다.
자신의 글씨체가 대통령 연하장에 사용됐다는 소식에 권안자 할머니는 "이제 죽어도 여한이 없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지금까지 칠곡할매글꼴은 곳곳에서 큰 반향을 불렀다. 귀신 잡는 해병대 교육훈련단이 있는 포항시 오천읍에는 칠곡할매글꼴로 만든 입대 환영 플래카드가 걸렸고, 경주 황리단길에도 이 글꼴로 제작한 대형 글판이 내걸렸다.
또 국내 최초 한글전용 박물관은 칠곡할매글꼴로 제작한 표구를 상설 전시했고, 정희용(고령·성주·칠곡) 국회의원은 이 글꼴로 의정보고서를 만들었다.
게다가 한글사랑운동을 펼쳐온 방송인 출신 역사학자 정재환 전 성균관대 교수와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 최홍식 전 연세대 명예교수는 칠곡할매글꼴 홍보에 나섰다.
김재욱 칠곡군수는 "칠곡할매글꼴은 정규 한글 교육을 받지 못한 마지막 세대가 남긴 문화유산으로, 한글이 걸어온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새 역사를 쓴 것"이라며, "글꼴을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다양한 상품으로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