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의 신규 국가산업단지 3곳이 확정되면서 각 산단의 주력 산업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의 연계 산업도 시너지 효과를 얻을 전망이다.
경주·울진은 동해안 청정에너지산업 벨트의 주축이 된다. 안동은 의성의 세포산업, 경산의 뷰티산업, 포항의 신약산업과 협업할 전망이다.
◆경주·울진 기점으로 경북 동해안 청청에너지산업 성장
경주와 울진에 각각 들어서는 원자력 관련 국가산단은 두 지역을 기점으로 동해안을 잇는 청정에너지산업 벨트를 형성할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 '탈탈원전' 정책과 오랜 기간 이어진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울진·영덕·경주 원전과 포항 강소연구개발특구·배터리규제자유특구가 청정에너지 산업을 주도할 전망이다.
경북 울진군에 들어서는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은 2030년까지 죽변면 후정리 일대에 158만㎡ 규모로 조성된다. 조성비는 약 4천억 원이다.
원자력 청정수소 생산 공급 기반을 바탕으로 잉여전력을 활용한 수소를 대량 생산하고 연계산업도 육성하는 등, 에너지 자립과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 목표의 국내 최다 원전 집적지로 발돋움하려는 목표다.
울진 국가산단에는 국내 수소 관련 대기업을 비롯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제조업체와 연구시설 등이 들어선다. 청정수소 R&D 연구실증단지 등을 조성하고 저비용 수소를 생산·저장·운반·활용한다.
국가혁신 수소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해 탄소중립 시대 핵심 과제인 국가 수소 산업을 울진 중심으로 이끈다.
울진군은 이에 따른 경제효과로 생산유발 7조1천억 원, 고용유발 2만4천50명이 발생할 것이라 추산했다.
손병복 울진군수는 "앞으로 원자력 전기를 값싸게 산업체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사업법 등 관련법 개정, 상용원전 연계 수소생산을 위한 R&D사업, SMR 활용 수소생산을 위한 제도마련 등 많은 난관과 절차를 통과해 글로벌 원자력수소 허브, 지방강소도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경주시에 조성하는 SMR(소형모듈원자로) 국가산단도 청정 원자력 산업의 주축이 된다.
SMR 국가산단은 2030년까지 문무대왕면 동경주나들목 일대에 3천966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조성한다.
한국원자력연구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감포에 건설 중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연계해 SMR의 실증·생산·수출 플랫폼 기능을 한다.
주낙영 시장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세계 SMR 시장은 2035년 630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라며 "SMR국가산업단지는 반도체‧자동차‧철강 등 주력 산업 침체로 위기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를 도약시킬 구원투수이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울진~경주 사이에는 한울, 월성 원전이 늘어서 있다. 짓기로 했던 천지원전 계획도 유보된 채 남아 있다.
원전 부활에 힘 싣는 윤 정부 정책으로 원전을 통한 대규모 발전과 원전 기술 수출이 성공리에 이뤄진다면 경북 동해안은 청정에너지 발전 지역으로 입지를 공고히 할 전망이다.
그 사이의 포항도 청정에너지 산업 선두를 달리고 있다. 포스코가 청정에너지 사업을 국내외에서 추진 중인 데다 강소연구개발특구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도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바이오생명은 의성·경산·포항의 세포, 화장품, 신약과 시너지
안동시에 들어서는 바이오생명 국가산단은 의성과 경산, 포항의 연계 산업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생명 국가산단은 2028년까지 총사업비 3천579억 원을 들여 풍산면 일대 약 132만㎡규모로 조성한다.
백신상용화 기술지원센터, SK바이오사이언스 등 바이오의약 연구기관·기업과, 의료제약 분야 와의 다양한 제품화가 가능한 햄프를 활용한 바이오 신산업을 육성한다.
이는 곧 의성 세포배양클러스터에 직접적 수혜가 된다. 이곳에서 배양하는 세포는 백신 개발 원자재라 할 수 있다. 경북도가 경산·포항·구미에도 세포배양 특화 클러스터를 확장하려는 만큼 관련 산업 덩치도 급성장할 전망이다.
바이오 산업은 경산 뷰티산업클러스터가 주도하는 화장품 산업, 포항 신약개발클러스터의 신약 연구개발 단지와도 연계할 수 있다.
앞서 안동의 헴프(산업용 대마) 및 바이오 기반 수혜를 노리던 (건강)식품 기업을 비롯, 관련 기업들 입장에서도 입맛에 따라 연구개발 또는 제조 기반 입지를 경북 각지에서 고를 수 있게 된 셈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청정에너지 발전과 활용, 에너지 장비 재사용은 세계적 현안이다. 경북 동해안 청정에너지산업 벨트가 자리잡으면 세계를 이끌 기반을 확보하는 셈"이라며 "신규 국가산단 3곳이 각 산단을 넘어 경북 전역의 경제 활성화 기틀 역할을 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