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영경 금통위원 "원·달러 환율, 코로나 이전 수준 하락 어렵다"

"원화약세 따른 자본유입 급감 가능성 작아"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관 모습. 연합뉴스
서울 중구 한국은행 신축 통합별관 외관 모습. 연합뉴스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2일 "원·달러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환율 변동 요인이 다양해지면서 원화가 강세 흐름을 보이기 쉽지 않아졌다는 것이다.

서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팬데믹 이후의 정책과제' 국제 콘퍼런스 패널 토론에 참석, 작년 이후 원화 약세 배경에 대해 "경기적 요인뿐 아니라 대(對)중국 경쟁 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 외국투자 수요 확대 등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다"며 이 같 전망을 내놨다.

서 위원은 과거보다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된 것으로 진단했다. 예전에는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늘고 수입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수출입 가격의 달러 표시 확대, 중간재·에너지의 높은 수입 의존도 등으로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자본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강화됐다고 평가했다.

서 위원은 "작년 이후 외국 주식투자 유출 규모가 축소되고 작년 말 관련 법 개정 이후 해외투자의 배당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점은 원화 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서 위원은 원화 약세와 환율 변동성 증가에도 자본 유입 급감 우려는 크지 않다고 봤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부문의 단기 외채 감소와 민간의 대외자산 증가에 힘입어 우리 경제의 통화 불일치 문제가 크게 완화됐기 때문"이라며 "최근 외국인 국내 채권 투자 확대로 장기외채가 증가하면서 이들 자금이 원화 절하와 내외 금리차 확대에 취약하다는 우려도 있지만,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에 기초한 장기투자가 많다는 점에서 위험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작년 말 관련 법 개정(해외 현지법인 배당수입 법인세 혜택) 이후 해외투자 배당금 유입이 늘어나는 점을 원화 절하 압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서 위원은 종합적으로 환율 안정 방안과 관련해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출 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이 중요하다"며 "자본수지를 통해 환율의 '자동 안정화' 기능을 강화하려면 해외직접투자의 배당금 환류 여건을 개선하고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유인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