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 3년, 돈 안 썼다…가계 초과저축 100조원 넘어

지난 2020년 상반기 경기도 부천 쿠팡 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으로 발생해 운영 중단을 알리는 안내문이 부착한 모습. 연합뉴스
지난 2020년 상반기 경기도 부천 쿠팡 물류센터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집단으로 발생해 운영 중단을 알리는 안내문이 부착한 모습. 연합뉴스

약 3년에 걸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국내 가계가 100조원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방역 등으로 소비가 강제로 제약된 상황에서 소득은 늘고 정부 지원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3년간(2020∼2022년)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민간소비의 9.7∼12.4% 수준이다.

이 분석에서 초과저축은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으로 정의됐다.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가계 저축 규모가 과거 통상적 수준보다 최소 100조원 이상 더 불었다는 뜻이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팬데믹 직후의 소비 감소와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이 꼽혔다.

저축률 상승분을 저축 동기에 따라 분해한 결과에서도 절반 이상을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제약 등 '비자발적 요인'이 차지했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가계지출 증가율 등으로 미루어 가계가 초과저축을 추가적 소비 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 호조에 정부 지원까지 더해져 소득 여건이 좋았던지라 저축까지 헐어 소비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2020∼2022년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 늘었는데 증가율이 팬데믹 이전 2017∼2019년(3.6%)보다 높았다. 가계는 이 저축을 주로 대출 상환에 쓴 것도 아니다. 대신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좋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에 따르면 국내 가계의 금융자산은 2020∼2022년 현금·예금·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천6조원 늘었다. 2017∼2019년(591조원)의 두 배에 이른다.

조주연 한국은행 동향분석팀 과장은 "가계가 실물경제와 금융의 큰 불확실성 때문에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유동성 좋은 금융자산 형태의 초과저축은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부정적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완충 역할을 하면서 민간 소비의 하방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