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한 카카오의 쇄신을 위해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은 13일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국민 눈높이에 부응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이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제3차 공동체 비상 경영 회의에 참석해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센터장은 "카카오 창업자로서 많은 분의 질책을 아프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준법신뢰위원회와 경영쇄신위원회를 통해 외부 통제도 받으며 빠르게 쇄신하고 국민의 사랑을 받아왔던 만큼, 새로운 카카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쇄신 방안에 대해서는 "올해 말에 가시적인 방안을 내고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달리겠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경영 쇄신을 위해 매주 월요일 공동체 비상경영회의를 열고 있다. 매번 주재하던 장소를 카카오에서 카카오모빌리티로 옮긴 까닭은 윤석열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카카오택시를 비판하면서 이를 직접 해결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를 둘러싼 이슈는 단연 수수료다. 카카오모빌리티 수수료 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개인택시나 법인택시가 운임 20%를 수수료로 내는 '가맹 계약'과 회사가 운임 15~17%를 기사에 돌려주는 '제휴 계약'이다. 카카오는 그동안 문제가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작년 국정감사에서 이런 이중구조 계약 방식이 문제점으로 떠올랐고, 올해 금융감독원은 이를 분식회계로 간주한 만큼 시선은 따갑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윤 대통령의 질타 이후 비판받아 온 가맹 택시 사업 구조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는 경쟁사 가맹 택시에 콜(승객 호출)을 주지 않아 문제가 된 사항들을 자진 시정하겠다는 '동의의결'을 신청하기도 했다. 동의의결은 공정위 조사·심의를 받는 사업자가 스스로 원상회복, 소비자 피해 구제 등 타당한 시정방안을 제시하면 위법 여부를 확정하지 않고 사건을 신속하게 종결하는 제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역삼동 전국택시연합회관에서 택시 4단체(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와 비공개 간담회를 가지고 오후 5시에는 카카오택시 가맹협의체와 간담회를 열어 현행 카카오 택시 호출 및 수수료 체계 등의 개선 방식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 센터장 대신 카카오모빌리티 류긍선 대표가 참석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다른 택시 플랫폼에 카카오T 플랫폼을 개방하고, 운영 방식과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날 간담회에서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택시 수수료 개편은 회사와 업계의 입장차가 커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불출석… "또 안 나오면 과태료"
[속보] 민주당, 오후 2시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이재명, 유발 하라리에 'K엔비디아' 언급…"공산주의자라 공격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