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돌봄부터 대학까지 지역맞춤형 교육 갖춘 구미시…'교육발전특구' 도전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지정 단위를 결정하는 3유형 방식으로 진행 예정
유아·돌봄, 초·중·고, 고교-대학연계 등 구미시 추진중인 사안과 '교육발전특구' 방향성 일치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 "구미처럼 산업과 교육의 연계가 준비된 도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우선 돼야"

구미시 제공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가 지역 공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지원하는 '교육발전특구'에 선정되기 위해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고 있다.

정부가 최근 '교육발전특구' 선정 기준을 발표한 가운데 구미시가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등이 협력해 우수한 지역인재 양성과 지역의 정주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7일 구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초부터 '교육발전특구 선정'을 위한 용역을 시작했으며, '구미형 교육발전특구' 전략 수립을 위해 교육 분야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등 전방위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재 구미시는 유아·돌봄, 초·중·고, 고교-대학 연계, 대학 등 분야별로 추진할 수 있는 주요 모델을 6가지 이상씩 준비하고 있다. 시는 교육발전특구 1차 공모 마감일인 내년 2월 9일 이전에 구미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모델을 선별 및 보강해 공모를 신청할 방침이다.

구미시는 광역지자체가 기초지자체의 신청을 받아 지정 단위를 결정하는 3유형 방식을 택해 경북도, 경북교육청과 함께 '교육발전특구' 선정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구미는 도내에서 41만 인구 대비 학령인구(7만1천여 명) 비율(17%)이 가장 높고, 연령층도 가장 낮아 교육발전특구 선정 시 다른 지자체보다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교육발전특구의 중점 추진 분야인 '지역 중심 돌봄·교육', '지역산업 연계' 등의 분야에서 이미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인 것도 교육발전특구 선정에 힘이 실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구미시는 전국 최초, 도내 최대 규모로 '구미24시 마을돌봄터' 운영을 시작했고, '365 소아청소년 진료센터' 운영, 교육부 사업인 '학교복합시설 공모사업' 선정, '경북미래교육지구 사업' 선정되는 등 다방면에서 지역 공교육 경쟁력 제고에 나서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교육발전특구' 구미 선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구미시을)은 지난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구미는 고교 반도체 교육을 하고 있고, 지역 대표 대학은 반도체 특성화 대학 선정을 위해 지역 내 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는 등 교육과 지역산업의 연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구미처럼 산업과 교육의 연계가 준비된 도시부터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위성을 밝혔다.

김종미 구미시 교육청소년과장은 "구미는 교육특구발전 공모에 앞서 이미 지역돌봄, 공교육 등에 추진하고 있는 사안들이 많아 이미 준비된 지자체로 평가받고 있다"며 "남은 기간 동안 구미에 교육발전특구가 선정돼야 하는 당위성을 적극 어필하고, 그에 걸맞는 준비도 체계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