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 관련한 종합대응반을 가동, 건설사 전반으로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확산을 차단하는 한편, 분양계약자 보호 등 시장 안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28일 김주현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산업은행 관계자들이 참석한 회의를 열고 태영건설 관련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태영건설이 높은 자체 시행사업 비중과 높은 부채비율(258%) 및 PF 보증(3조7천억원) 등으로 다른 건설사들과 상황이 다르므로 과도한 불안 심리만 없을 경우 건설 산업 전반이나 금융 시장 불안으로 연결될 가능성은 없다고 진단했다.
정부 관계자는 "향후 워크아웃 과정에서 태영건설의 철저한 자구노력을 바탕으로 채권단과의 원만한 합의·설득 노력이 중요하다"며 "정부도 부동산 PF 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영건설 관련 PF 사업장은 9월 말 기준 총 60개로, 각 사업장의 유형과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거나 정리를 결정할 방침이다.
태영건설이 공사 중인 주택 사업장과 계약한 수분양자들에 대한 보호 조치도 시행된다. 태영건설이 공사 중인 주택사업장 중 분양이 진행돼 분양계약자가 있는 사업장은 총 22곳이며 가구 수로는 1만9천869가구에 달한다.
이 중 14개 사업장(1만2천395가구)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보증에 가입된 상태다. 이들 사업장은 태영건설의 계속 공사 또는 시공사 교체 등을 통해 사업을 계속 진행으로써 분양계약자가 입주하는 데 차질이 없게 할 계획이다.
협력업체들에 대한 신속 지원도 이뤄진다.
태영건설은 공사 140건을 진행 중으로, 수익성 검토 등을 거쳐 태영건설 또는 공동 도급사가 공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한 협력업체는 581개로 1천96건의 하도급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이 중 1천57건(96%)이 건설공제조합의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가입 또는 발주자 직불 합의가 돼 있다. 때문에 원도급사 부실화 경우 보증기관 등을 통해 하도급 대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다른 PF 사업장 및 건설사 영향을 최소화하고 금융시장 안정화에도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워크아웃 신청으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건설사 발행 회사채·CP와 건설사 보증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한 차환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 시행하고, PF-ABCP를 장기 대출로 전환하기 위한 보증 프로그램도 증액하기로 했다.
대통령실도 "부동산PF 리스크 관리와 함께 시장 안정을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들을 취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