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정치권이 지역민들의 숙원인 군부대 이전에 제 역할을 할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 직후부터 대구 군부대 이전에 적극 나선 상황에서 국방부에도 이를 관장하는 전담 부서가 최근 신설된 것이다. 이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민군복합타운 조성'을 공약한 바 있다. 이제 4·10 총선에 출마하는 대구 여야 후보들이 모두 군부대 이전 공약을 핵심으로 내걸고 나서야 할 때가 왔다. 기초 및 광역지방자치단체·국방부·지역 정치권이 삼위일체가 돼야 이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5군수지원사령부, 제50사단, 공군 방공포병학교 등 4개 군부대를 다른 지역으로 이전해 '밀리터리 타운'을 건설할 계획이다. 또 남구의 3개 미군기지(캠프 워커·조지·헨리)까지 옮기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들 부대는 수성구, 북구, 남구 등지를 아우르고 있다. 대구 군위군, 경북 영천시·상주시·칠곡군·의성군 등 5개 기초단체가 이들 군부대의 유치 희망 의사를 밝힌 상태다. 대구시와 국방부도 지난해 12월 군부대 이전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윤 대통령은 전국 각지에 흩어진 군사 시설의 권역별 통합 과정에서 조성하는 군 복지시설 등을 지역민과 공유하는 '민군복합타운' 조성을 약속했다. 대구 밀리터리 타운과 궤를 같이한다. 국방부는 지난달 26일 윤 대통령의 공약 실무를 맡아 운영할 '민군복합타운기획과'를 신설했다. 여기에는 국방부에서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을 담당하던 실무자들도 합류했다.
이전 후적지와 이전 대상지 주민들 간 이해관계가 얽힌 군부대 이전은 지자체와 국방부의 노력만으로는 쉽지 않다. 대구시와 남구청이 미군과 30년 이상 논의를 거듭해 왔지만 번번이 실패한 캠프 워커 이전의 경우 한미 양국 간 외교 관계까지 얽혀 더 풀기 어려운 실타래다. 이를 풀기 위해서는 여야 정치권이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김여정 "리재명, 역사의 흐름 바꿀 위인 아냐" 발언에…대통령실 "진정성 왜곡 유감"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